- 영문명
- 발행기관
- 대한방사선종양학회
- 저자명
- Hyung Sik Lee(이형식) Sun Rock Moon(문성록) Ki Jung Ahn(안기정) Eun Ji Chung(정은지) Chang Ok Suh(서창옥) Gwi Eon Kim(김귀언) John J K Loh(노준규)
- 간행물 정보
-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제8권 제2호, 199~205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종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0.12.30
국문 초록
1978년 1월부터 1987년 12월 사이에 연세대학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받았던 44예의 T2NOMO 병기의 성문암 환자중 후향적 분석이 가능하였던 42예의 환자의 최소 추적기간은 3년 이었으며, 5년 추적조사 기간은 81%에서 가능하였다. 전체 환자(42예)의 5년 생존율 및 무병생존율은 각각 63.1% 및 53.3%이었다. 5년 무병생존율을 기초로 한 성문의 운동성 장애와 성문함의 국소 침윤정도에 따른 예후인자의 분석에 있어서 성문의 운동성이 정상이고 성문 하부로의 침윤이 존재하지 않은 14예의 환자의 5년 무병생존율은 83.1%로 방사선 치료만으로도 성문의 운동성 장애가 있거나 성문 하부 침윤이 있었던 경우에 비하여 월등히 높은 치료 성적을 나타내어 T2NOMO 병기 내에도 방사선 치료에 다양한 반응을 보이는 아군(subgroup)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고 아울러 치료 실패 양상, 선량-반응 관계, 치료 실패환자의 수술요법 등에 관한 분석을 하여 향후 치료의 지침으로 삼고자하였다.
영문 초록
During a ten-year period from 1978 through 1987, 44 patients with T2NOMO glottic cancer were treated with radial radiation therapy at the Yonsei University Medical Center. Forty-two patients had a minimum follow-up of 3 years, and 81% had at least five years of follow-up. Patients were staged according to the AJCC system. Forty-two patients have been analyz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wo variables: the status of vocal cord mobility (n=24), 43.4%(p<0.05); patients with subglottic extension (n=14), 83.1%.
On the basis of this analysis, we confirmed the presence of heterogeneity in T2NOMO glottic cancer. This study indicates that further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re warranted to evaluate individualized treatment according to its heterogeneity.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