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ression and Localization of Epidermal Growth Factor in the Testosterone administered Submandibular Gland of the Rat
- 발행기관
- 대한해부학회
- 저자명
- 김진국(Jin-Gook Kim) 정기영(Ki-Young Jung) 박경호(Kyung-Ho Park) 고정식(Jeong-Sik Ko) 안의태(E-Tay Ahn)
- 간행물 정보
- 『대한해부학회지』제35권 제3호, 239~247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2.06.30
국문 초록
설치류의 턱밑샘은 미분화상태로 출생되지만 출생 후 신경 및 호르몬의 영향으로 분화가 촉진되어, 성체가 되면 완전
히 성숙된 턱밑샘의 형태를 갖추게 된다. 특히 턱밑샘 분비관의 발생 및 성숙단계에서 뚜렷한 테스토스테론 의존성을 보
이지만 그 작용기전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실험은 아직 분비관이 발달하지 않은 생후 3주의 흰쥐에 테스토스테론을 투여한 후 턱밑샘에서 표피성장인자의 변화를 역전사중합효소연쇄반응 (RT-PCR), 면역조직화학염색 (IHC) 및 원위치부합법 (ISH)으로 분석하여 테스토스테론이 턱밑샘 분비관의 발달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역전사중합효소연쇄반응 결과 테스토스테론을 1일, 2일 및 4일간 투여 후에는 턱밑샘에서 표피성장인자 mRNA의 발
현이 점차 증가되었다.
*면역조직화학염색 결과 테스토스테론을 1일간 투여한 후부터 턱밑샘의 분비관에서 표피성장인자에 면역반응하는 세
포들이 나타났으며 2일 및 4일간 투여후 기간에 따라 반응세포들이 점차 증가되었다.
*원위치부합법 결과 테스토스테론을 1일, 2일 및 4일간 투여하면 분비관에서 표피성장인자 mRNA가 발현되는 세포들
이 점차 증가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테스토스테론은 미분화 상태의 턱밑샘 분비관이 과립곱슬대롱으로 분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
하는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The submandibular gland of rodents is under-developed state at birth, and the differentiation takes place post-natally under the control of neuronal and hormonal factors. In particular, testosterone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differentiation of duct system of rodent submandibular gland, but the underlying mechanism is not clear.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estosterone administ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granular convoluted tubular(GCT) cells in immature rats, the expression and localization of epidermal growth factor (EGF), as a marker of GCT cell, on the submandibular gland of 3 week-old rats were examined by means of RT-PCR, immunohistochemistry and in situ hybridization.
*RT-PCR demonstrated gradual increases of the amounts of EGF mRNA following the administration of testosterone for 1~4 days.
*Immunohistochemistry shows that the occurrence of EGF protein first appeared at the striated duct after the
administration of testosterone for 1 day, and had increased in number at the duct portions, 2 and 4 days after the testosterone administration.
*In situ hybridization also indicates testosterone-induced expression of EGF mRNA became evident as EGF
protein at the duct system of rat submandibular glan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estosterone is involved in the differentiation of the granular convoluted tubular cells, during the post-natal development of the rat submandibular gland.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