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Large Cell Carcinoma of the Lung

이용수 8

영문명
발행기관
대한방사선종양학회
저자명
Jin Yeong Yang(양진영) Hyung Sik Lee(이형식) Sun Rock Moon(문성록) Gwi Eon Kim(김귀언) Chang Ok Suh(서창옥) Joun J K Loh(노준규) Won Yong Oh(오원용) In Soon Whang(황인순)
간행물 정보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제8권 제2호, 219~223쪽, 전체 5쪽
주제분류
의약학 > 종양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1990.12.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985년 1월부터 1989년 12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치료방사선과 및 연세암센터에서 치료받은 33명의 대세포 폐암 환자에 대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이중 28명이 남자로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평균 연령은 59세였다. 대세포 미분화 폐암이 가장 많았으며 종양의 위치는 우측 폐에 19명, 좌측 폐에 14명에서 발견되었다. 일반적으로 대세포 폐암은 상당수가 폐의 주변부에 종양이 위치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본 조사에서는 중심부에 위치해 있는 경우가 주변부 만큼 많이 관찰되었다(51.5%와 48.5%). 33명의 환자 중 21명이 ⅢB기 이상의 상당히 진행된 병변을 갖고 진단되어 졌다. 총 15명의 환자에서 원격전이가 관찰되었는데 이중 11명이 진단당시부터 원격전이를 갖고 있었고 나머지 4명은 치료 도중이나 치료 후 발견된 경우였다. 원격전이 부위는 다양하였는데, 연부조직, 피부, 췌장 및 충수돌기둥 다른 폐암에서는 흔치 않는 부위에서의 원격전이가 관찰되었다. 치료는 개인별로 차이가 많았는데, 초기에 진행된 병변을 가진 환자가 많았으므로 19명 만이 근치적 목적의 치료를 받았으며 나머지 14명은 고식적인 방법으로 치료를 받았는데 치료후 2명의 환자에서 완전 관해를 얻었다. 4명의 환자가 24개월에서 54개월까지 장기 생존하였으며 2년 생존율은 14.3%였고 중앙생존 기간은 6개월 이었다. 생존율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을 분석해 본 결과 늑막 유출액이 없었던 환자군과 치료후 완전 관해를 보였던 환자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생존율이 좋았다 (p<0.01).

영문 초록

This is a retrospective review of 33 patients with large cell lung carcinoma treated ar Yonsei University Cancer Center between jan. 1985 and Dec. 1989. Of the thirty-three patients, twenty eight were men and five women. Median age was 59 years. Large cell undifferentiated carcinoma was the most common pathologic type, 78.8%. Twenty one of thirty three patients had far advanced diseases, stage ⅢB-Ⅳ at the time of initial diagnosis. Pleural effusion was initially presented in 12 patients, and SVC syndrome appeared in 5 patients. As to location of the primary tumor, 19(57.6%) appeared in the right lung and 14(42.4%) in the left. Patients with a centrally located primary tumor mass were nearly the same as those peripherally located(17 vs. 16). Fifteen of thirty three patients developed metasis involving not only bone, breain, the opposite lung, adrenal gland but also soft tissue, skin, pancreas and appendix. Treatment was individualized with 19 treated radically and 14 palliatively. After treatment, only two patients showed a complete response. Long term survival was observed in 4 patients: 1(24 mo.), 2(41 mo.) and 1(54 mo.). The overall 2 year survival rate was 14.3% while the median survival time was 6.0 month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various factors affecting survival, we observed that pleural effusion-absent group and complete response group had a statistical significant better survival rate(p<0.01).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Jin Yeong Yang(양진영),Hyung Sik Lee(이형식),Sun Rock Moon(문성록),Gwi Eon Kim(김귀언),Chang Ok Suh(서창옥),Joun J K Loh(노준규),Won Yong Oh(오원용),In Soon Whang(황인순). (1990).Large Cell Carcinoma of the Lung.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 8 (2), 219-223

MLA

Jin Yeong Yang(양진영),Hyung Sik Lee(이형식),Sun Rock Moon(문성록),Gwi Eon Kim(김귀언),Chang Ok Suh(서창옥),Joun J K Loh(노준규),Won Yong Oh(오원용),In Soon Whang(황인순). "Large Cell Carcinoma of the Lung."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 8.2(1990): 219-223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