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mparing Models for Estimating School Value-Added using Large-scale Achievement Data
- 발행기관
- 한국교육평가학회
- 저자명
- 김준엽(Junyeop Kim)
- 간행물 정보
- 『교육평가연구』제23권 제1호, 101~12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3.30

국문 초록
학교의 책무성에 대한 판단 근거로 향상의 정도에 관한 정보를 활용하고자 할 경우, 부가가치 모형은 향상도에 대한 통계적 분석을 위한 방법론적 틀을 제공한다. 본 연구는 부가가치모형을 활용할 수 있는 대규모 자료가 가용함을 전제로 몇 가지 주요한 부가가치 모형을 활용하여 부가가치 지수를 실제로 추정하고, 모형을 통한 결과를 비교하고, 각 모형의 장단점을 분석하며, 이를 실제 학교평가에 활용할 경우 고려해야 할 문제점들을 검토하기 위한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분석을 위해 미국 및 영국에서 실제로 부가가치 분석을 위해 활용되고 있는 모형들을 비교하였다. 비교에 사용된 부가가치 모형은 영국에서 활용되고 있는 공변인 통제 방식의 Contextual Value-Added Model(CVA), 3-수준 다층 성장모형의 학교수준 무선효과를 활용한 모형, 그리고 Tennessee Value-Added Accountability System(TVAAS)에서 교사책무성 분석에 활용되는 Layered Mixed Effect Model(LMEM)이다. 각 모형에 대해 개인 배경변수 및 학교의 맥락변수를 투입한 모형과 투입하지 않은 모형을 제시하고, 측정시점, 자료의 구조, 맥락변수 투입에 따른 부가가치 지수의 의미 및 부가가치 모형의 활용 방안 등을 비교·논의 하였다. 부가가치 모형의 실제 적용을 위해 Longitudinal Study of American Youth(LSAY, Miller et. al., 1999) 자료가 사용되었다.
영문 초록
School's academic progress is an important criterion for reporting school accountability. Value-Added Model provides a methodological solution for measuring schools’ progress. This study, under the assumption that large-scale longitudinal data is available, aims to compare several statistical options currently available for value-added analysis. The Contextual Value-Added model (VAM) of English accountability system, a model utilizing school-level random effect of 3-level growth model as a value -added indicator, and Layered Mixed Effect Model (LMEM) of Tennessee Value-Added Accountability System (TVAAS) are empirically compared using data from Longitudinal Study of American Youth (LSAY). Discussions are provided in terms of needed data type and structure, definition of value-added when individual background and school context are controlled and not controlled, and how to utilize estimated school value-added.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