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diagnosis of the CSAT applying a logical model of valida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육평가학회
- 저자명
- 김성훈(Sung-Hoon Kim)
- 간행물 정보
- 『교육평가연구』제23권 제1호, 1~2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3.30

국문 초록
대학수학능력시험체제를 진단하기 위해서 타당화 논리모형을 만들고, 그 모형에 근거하여 시험체제가 정당화될 수 있을 것인지 논의하였다. 논리모형은 그 시험 체제의 개념화, 시행, 성과 등의 국면을 상정하였다. 개념화 국면의 가정 충족하기 위한 타당성으로서, 계획국면은 내용타당성을; 시행국면은 상황타당성을; 성과 국면은 예언타당성과 결과타당성을 충족하는지를 분석하였다. 내용타당성은 시험범위의 확장과 함께 떨어졌으며, 예언타당성은 부분적으로만 확인될 뿐 내신점수에 비해서 떨어지며, 결과 타당성으로서는 고등학교 교육정상화나 사회적 신뢰 구축 어느 것에서도 만족스럽지 못했다. 이상의 타당성 미흡에도 불구하고 그 체제는 상황타당성에 근거하여 유지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고등학교 프로그램 및 대학의 입학전형의 다양화와 같은 상황 변화를 전제한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역의 축소, 복수 시행 및 문항은행제 등이 제언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to diagnose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with an application of a logical model. The logical model was made to evidence the assumptions underlying the (planning, operation, outcome, and context) phases of the CSAT. The diagnosis of the CSAT was done by checking the validity of each phase; content validation for planning phase, context validation for operation phase, prediction and consequence validation for outcome phase. The finding was that the CSAT was not sufficiently justifiable with respect to the validations. Content validity was decreased as the expansion of the test area; prediction validity was hardly supported by CSAT-GPA coefficients; lack of consequence validity was evidenced by the lack of content validity, existence of abnormal classes and private educating, and universities' practices of using CSAT sub-scores. It was discussed that the CSAT system could be simplified assuming the contextual change such as new and varying tryout of highschool programs and of college entrance screening practice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