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람 태아 척수중심관 및 종말뇌실을 싸는 뇌실막세포에서 발생단계에 따른 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과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면역반응성의 변화
이용수 13
- 영문명
- Developmental Changes of 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 (GFAP) and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PCNA) Immunoreactivity of the Ependyma lining the Central Canal and Ventriculus Terminalis in the Human Fetus
- 발행기관
- 대한해부학회
- 저자명
- 강호석(Ho Suck Kang) 송대용(Dae Yong Song) 조병필(Byung Pil Cho) 양영철(Young Chul Yang)
- 간행물 정보
- 『대한해부학회지』제35권 제3호, 229~238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2.06.30
국문 초록
사람태아 척수에서 종말뇌실을 둘러싸는 뇌실막세포의 형태학적 특성은 이들이 척수중심관을 싸는 뇌실막세포에 비해
그 분화 속도가 상당히 느리거나 혹은 어느 단계에서 고착되어 더 이상의 분화가 진행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음을 암시한
다 (강호석 등, 2000). 이를 증명하고자 저자들은 18~24주 사이의 한국인 태아에서 각각 종말뇌실과 척수중심관을 싸고
있는 뇌실막세포의 분화양상을 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 (GFAP) 발현 변화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아울러 이와 같은 분화정도의 차이가 그들의 분열능과 어떠한 관계를 맺고 있는지도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PCNA)의 발현정도를 통해 확인하였다.
척수중심관에서는 이 관의 등쪽을 싸고 있는 뇌실막세포에서만 한정적으로 GFAP 면역양성반응이 나타나는데 비하여
종말뇌실을 싸는 뇌실막세포들은 전범위에 걸쳐 다수의 세포들이 GFAP 항체에 양성반응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PCNA를
발현하는 척수중심관 뇌실막세포의 수는 태령 20주를 전후하여 급격히 감소하여, 20주 이후에는 몇몇 세포들만이 PCNA
에 양성반응을 보이는 반면, 종말뇌실을 싸고 있는 뇌실막세포들은 20주 이후에도 다수의 세포들이 강한 PCNA 양성반응
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는 종말뇌실을 싸는 뇌실막세포들이 척수중심관을 싸는 뇌실막세포에 비해 발생이 느리게 진행되며, 그 결과 이들은 척수중심관을 싸는 뇌실막세포들이 분열능을 상실한 이후에도 계속적으로 분열능을 보유한다는 사실을 나타낸다.
영문 초록
The distinguishing morphological features of the ependyma lining ventriculus terminalis in human fetus have
suggested that its differentiation would be somewhat delayed or arrested as compared with the ependyma lining central canal. To demonstrate this hypothesis, GFAP was used as a marker to compare the developmental state of the ependyma lining ventriculus terminalis and central canal along fetal age (18- to 24-week-old fetuses were investigated). PCNA was also used as a marker to identify whether proliferation potentiality of the ependyma lining ventriculus terminalis lasted longer than that of the ependyma lining central canal as a result of differentiation delay. GFAP-positive ependymal cells were restricted to dorsal plate at central canal but at ventriculus terminalis, many positive cells were identified in all regions compared with the ependyma lining central canal. The number of PCNApositive ependymal cells lining central canal decreased sharply about the time of 20th week, but at ventriculus terminalis, many ependymal cells continued to express PCNA after 20th week.
As a result, we could conclude that differentiation of the ependyma lining ventriculus terminalis is delayed as
compared with the ependyma lining central canal. In accordance with its developmental delay, it lasts longer proliferation potentiality than the ependyma lining central canal.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