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velopmental Expression of Epidermal Growth Factor in Rat Kidney
- 발행기관
- 대한해부학회
- 저자명
- 정주영(Ju-Young Jung) 이승헌(Sung-Hun Lee) 한기환(Ki-Hwan Han) 양철우(Chul-Woo Yang) 차정호(Jung-Ho Cha) 정진웅(Jin-Woong Chung) 김 진(Jin Kim)
- 간행물 정보
- 『대한해부학회지』제34권 제6호, 623~633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1.12.30
국문 초록
표피성장인자 (epidermal growth factor, EGF)는 콩팥세포를 비롯한 여러 종류의 세포배양 실험에서 세포증식을 촉진한다
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생체와 콩팥발생과정에서 조사한 EGF의 발현과 기능에 대하여는 연구자에 따라 여러 가지로 주
장되어 정확히 확립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발생중인 흰쥐 콩팥에서 면역조직화학법을 이용하여 EGF의
발현시기와 위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동물은 Sprague-Dawley계의 흰쥐를 사용하였으며, 임신 16일, 18일 및 20일, 그리고 출생 후 1일, 4일, 7일, 14일, 21일 및 성체(3개월)로부터 콩팥을 절취하여 EGF에 대한 광학 및 전자현미경적 면역세포화학법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성체 흰쥐에서 EGF 면역반응성은 원위세관 (distal tubule) 중 치밀반 (macular densa)을 제외한 굵은오름부분 (thick ascending limb, TAL)과 원위곱슬세관 (distal convoluted tubule, DCT)에 국한되어 나타났고, 다른 요세관에서는 관찰할 수 없었다.
(2) 발생중인 흰쥐 콩팥에서 EGF-양성세포가 수질곁콩팥단위 (juxtamedullary nephron)의 피질굵은오름부분 (cortical TAL)에는 출생 후 3일군부터, 원위곱슬세관에는 7일군부터 출현하였다. 출생 후 14일군부터 수질곁콩팥단위 뿐 아니라 피질콩팥단위 (cortical nephron)의 피질굵은오름부분과 원위곱슬세관에도 EGF-양성세포가 출현하기 시작하였다. 수질굵은오름부분 (medullary TAL)에는 출생 후 14일부터 EGF가 발현되기 시작하여 21일군에서는 면역반응성이 증가하여 성체와 비슷하여졌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발생과정에서 EGF-양성세포가 세포분열이 활발한 태생 및 출생 직후에는 나타나지 않고 세포분화 시기인 출생 후 7일 이후 급격히 많아지는 것으로 보아, 콩팥 원위세관에서 생산하여 분비되는 EGF는 원위세관 이후의 상피세포 분화에 관여하리라 생각한다.
영문 초록
Epidermal growth factor (EGF) is well known to be one of regulating factor in proliferation. The aim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elucidate the expression time and localization of expression of EGF in developing rat (Sprague-Dawley) kidney. Kidneys of 16-, 18- and 20-day-old fetuses, 1-, 3-. 7-, 14-, and 21-day-old pups and adult (3months) were preserved for light and electron microscopic immunocytochemistry. In adult rat kidney, EGF immunoreactivity was well localized in thick ascending limb and distal convoluted tubule. In developing rat kidney, EGF-positive cells appeared first in cortical thick ascending limbs and distal convoluted tubules of juxtamedullary nephrons at 3 days and 7 days after birth respectively, in cortical thick ascending limbs and distal convoluted tubules of cortical nephrons at 14 days after birth, and in medullary thick ascending at 21 days after birth. These findings suggest that renal EGF synthesized and secreted from distal tubule may possibly accelerate not proliferation but differentiation of the renal tubular epithelium at least in neonatal rat kidney.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