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흰쥐 소뇌 발달과정에서 발현의 변화를 보이는 glutamate_aspartate transporter (GLAST) 유전자 클로닝 및 발현양상 규명
이용수 28
- 영문명
- Cloning and Localization of Developmentally Regulated Gene, Glutamate/Aspartate Transporter (GLAST) Gene, in the Developing Rat Cerebellum
- 발행기관
- 대한해부학회
- 저자명
- 장윤정(Yoon-Jeong Chang) 심재호(Jae Ho Shim) 김창미(Changmee Kim) 김 현(Hyun Kim) 유임주(Im Joo Rhyu) 서영석(Young-Suk Suh) 전용혁(Yong-Hyuck Chun)
- 간행물 정보
- 『대한해부학회지』제33권 제4호, 381~391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0.08.30
국문 초록
Ordered differential display PCR로 흰쥐 뇌 발달과정에서 발현의 변화를 보이는 유전자를 분리하여 GLAST(L -glutamate/L-aspartate transporter) 유전자인 S59158과 동일한 유전자임을 확인하였으며, 이 유전자의 특성 규명을 위해 흰쥐 뇌 발달과정에서의 발현양상 및 glutamate 아나로그인 kainic acid를 처리한 흰쥐 뇌에서의 유전자 발현양상을 in situ hybridization 조직화학법으로 확인하였다.
GLAST S59158은 신경조직 특이적인 발현양상을 보였으며, 특히 출생 후 소뇌 발달과정에 따라 현저한 발현의 변화를 보였다. S59158은 신경아교세포 생성이 왕성하게 일어나는 시기인 배자기 14일에서 20일 사이에 신경아교세포 생성이 일
어나는 부위인 뇌실밑부분 (subventricular zone)에서 높게 발현하였다. 출생 후에는 뇌실밑부분에서의 발현이 현저히 감소한 반면, 소뇌 조롱박세포층 (purkinje cell layer)의 Bergmann 세포에서 매우 강한 발현을 보였으며, 해마 (hippocampus), 치아이랑 (dentate gyrus) 및 후각망울 (olfactory bulb)에서는 중등도의 발현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GLAST(S59158) 가 흰쥐 신경계의 발달 과정에서 신경아교세포의 생성과 관계가 있음을 생각할 수 있으며, 세포 외 glutamate 농도 증가에 의해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S59158, a gene of GLAST(L -Glutamate/L-Aspartate transporter), was cloned by ordered differential
display PCR with developing rat brains. The mRNA expression of this gene in the developing rat brain and the effect of kainic acid (KA), glutamate analogue, on this gene were investigated with in situ hybridization histochemistry.
The expression of S59158 was restricted to nervous system and observed from E12 (embryonic day 12), peaked at
E20, and gradually decreased to adult level. In embryos, S59158 was prominently expressed in the subventricular zones throughout the brain. After birth, strong expression was observed in the purkinje cell layer of cerebellum and moderate level of expression was observed in the subventricular zone, olfactory bulb, hippocampal formation, and cerebral cortex. In the KA treated rat brains, the expression of S59158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dentate gyrus, hippocampus, and cerebral cortex.
From these results, it may be suspected that S59158 i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brain and is induced by
increased extracellular glutamate level.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