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Morphological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edial Lamellar Unit in the Wall of Aorta and its Major Branches in Human Fetuses
- 발행기관
- 대한해부학회
- 저자명
- 박형우(Hyoung Woo Park) 이용희(Yong Hee Lee) 송세훈(Seh Hoon Song)
- 간행물 정보
- 『대한해부학회지』제32권 제1호, 11~16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9.02.28
국문 초록
성인과 태아에서 동맥벽의 구조는 다양한 혈역학 요인에 의해 형성되고 조절된다. 발생 중인 태아에서 대동맥 벽의 탄성층판의 수는 태아령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며, 근위부에서 원위부로 갈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대동맥활은 가장 큰 동맥이며, 머리목 및 팔에 분포하는 세 개의 큰 가지를 낸다. 대동맥활이 시작하는 부위와 끝나는 부위의 벽에서 층판의 수는 연구된 바 있으나, 두 부분 사이에서 나오는 세 개의 큰 가지가 대동맥 벽의 구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는 연구된 바 없다. 따라서 이 실험에서는 발생 9~28주 사이의 인태아에서 대동맥활 및 그 주요 가지에서 탄성 층판의 성장 및 발달을 조직 표본 관찰을 통해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대동맥활의 각 부위에서 층판의 수는 태아의 성장과 함께 점차 증가하였으나, 증가율은 부위에 따라 다소 차이를 나타내
었다. 발생 15주 이전에는 근위부에서, 이후에는 원위부에서 층판 수가 많아졌는데 대동맥과 동맥관 내의 혈액 흐름 변화 때문으로 생각되었다. 주요 가지에서 층판의 수는 팔머리동맥간, 좌온목동맥, 좌빗장밑동맥의 순서로 많았다. 동맥 가지를 기준으로 가지의 층판 수와 원위부의 층판 수를 합한 것이 근위부의 층판 수 보다 항상 많았는데, 탄성층판이 대동맥을 따라 연속된 판을 이루지 않으며 가지에 새로운 층판이 만들어지기 때문으로 생각하였다. 이러한 새로운 층판의 증가는 근위부보다는 원위부와 더 관계가 있었는데, 근위부가 더 먼저 발달하고 먼저 성숙 단계에 이르기 때문으로 생각하였다.
영문 초록
The structure of the arterial wall is formed and controlled by various hemodynamic factors in the adults and fetuses.
Furthermore, recent studies of human fetuses at varying stages confirmed that the number of elastic medial lamellar unit(MLU) increased with age and decreased along it length from arch to lower abdominal aorta. Using human fetuses between 9 to 28 week of development, we traced the change in the number of MLU along the arch of aorta from which 3 major branches, the brachiocephalic trunk, left common carotid artery, left subclavian artery, arose.
The number of MLU along the arch of aorta increased with age, but there were regional differences in the increase.
Increase in the number of MLU was prominent in the proximal part of the arch before 15 week of development, but in the distal part after 15 week of development. Branch with greater diameter had more MLU. So the brachiocephalic trunk had the most MLU among 3 branches. When compare the sum of number of MLU in one branch (A) and in the arch after origin of branch (B) to the number of MLU in the arch before origin of brahch (C), A+B was always greater than C. This means that the MLU does not form a complete sheet along the aorta and new MLU is added to the wall of branch probably due to shear stres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