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ression Pattern of Transforming Growth Factors Observed Immunohistochemically in Fetal Rat
- 발행기관
- 대한해부학회
- 저자명
- 채희선(Hee Sun Chae) 고명인(Myung In Ko) 윤석환(Suk Hwan Yoon) 김성수(Sung Su Kim) 김경용(Kyung Yong Kim) 이원복(Won Bok Lee)
- 간행물 정보
- 『대한해부학회지』제32권 제3호, 269~278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9.06.30

국문 초록
흰쥐 태자발생에서 임신기간 및 조직발생에 따른 형질전환성장인자의 역할을 연구하고자 TGF-β1, β2 및 β3 항체를 이용한 면역조직화학염색을 통해 관찰하였다.
1. 임신 제 14일부터 제21일까지의 흰쥐 태자조직에서 TGF-β1, β2, β3 단백질이 모두 발현된 조직은 심장의 속막 및 중간막, 기관지, 혈관속막, 창자의 점막 및 바깥막, 가로무늬근육, 간피막과 간혈구형성세포, 뇌척수막, 태아표피와 진피 등 이었다.
2. 임신 제14일부터 제 21일까지의 흰쥐 태자조직에서 TGF-β1 단백질이 전혀 발현되지 않은 조직은 혈관중간막과 소화
관 근육층의 민무늬근육, 콩팥의 세관세포 등이었다. TGF-β2 단백질의 발현을 보이지 않은 조직은 민무늬근육과 허파꽈리 세포였고 TGF-β3 단백질의 발현을 보이지 않은 조직은 뼈세포, 허파꽈리세포, 콩팥의 입방상피세포 바닥막 등이었다. 그 외 조사된 조직에서 각각의 TGF-β 단백질은 임신기간 중에서 초기 또는 말기에 특징적으로 발현되거나 발현의 정도도 증감의 양상을 보이기도 하였다.
3. 세 종류의 TGF-β 단백질의 발현은 일부 조직을 제외하고는 세 종자층에서 기원된 모든 조직에서 발견되었으며 특히
주로 중간엽에서 기원된 조직의 대부분에서 강하게 발현되었다. 또한 TGF-β1 단백질에 비해 TGF-β2 및 TGF-β3 단백질은 태자발생에서 더욱 다양한 조직에서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TGF-β1, β2 및 β3 단백질은 흰쥐 태자발생동안 조직의 형태발생에 있어 중요한 조절인자로 작용하고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The roles of TGF-β1, β2 and β3 according to gestational ages and histodifferentiation were studied using
immunohistochemistry with rat fetuses.
1. From day 14 to 21 of fetal rat, all the TGF-β1, β2 and β3 were expressed in endocardium, myocardium,
bronchiole, tunica intima of blood vessles, mucosa and serosa of intestine, striated muscle, hepatic capsule, hepatic hemopoietic cells, meninges, epidermis and dermis.
2. From day 14 to 21 of fetal rat, TGF-β1 was not expressed in the smooth muscle of blood vessel and intestinal
tract, alveolar cell and renal tubular cell. TGF-β2 was not expressed in the smooth muscle of blood vessel and
intestinal tract and alveolar cell. TGF-β3 was not expressed in osteocyte, alveolar cell, and basement membrane of renal cuboidal epithelial cell. And TGF-βs expressed especially in early or late gestational age and the degree of expression increased or decreased with gestational age.
3. The TGF-β1, β2 and β3 were expressed in tissues originated from 3 germ layers except several tissues, and those originated from mesoderm exhibited strong expression. The TGF-β1 was expressed more widely than TGF-β2 and β3 during gestation.
In summary, TGF-β1, β2 and β3 were considered as important control factors of cell to cell interaction in the
morphogenesis of tissues during fetal development.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