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Optimal Scheme of Postoperative Chemoradiotherapy in Rectal Cancer : Phase Ⅲ prospective Randomized Trial
- 발행기관
- 대한방사선종양학회
- 저자명
- 김영석(Young Seok Kim) 김종훈(Jong Hoon Kim) 최은경(Eun Kyung Choi) 안승도(Seung Do Ahn) 이상욱(Sang-wook Lee) 김경주(Kyoung-Ju Kim) 이제환(Je Hwan Lee) 김진천(Jin Cheon Kim) 유창식(Chang Sik You) 김희철(Hee Cheol Kim)
- 간행물 정보
-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제20권 제1호, 53~61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종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2.03.31

국문 초록
목적: 근치적 수술을 시행 받은 직장암 환자에서 수술 후 보조치료로서 방사선 치료와 화학요법을 시행 시, 방사선치료와 화학요법의 시행 시점에 따른 생존율, 치료 실패양상, 부작용을 제 3상 전향적 무작위 비교임상연구를 통하여 비교함으로써 가장 적절한 방사선치료와 화학요법의 순서를 결정하고자 함이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1월부터 1999년 3월까지 근치적 절제술을 시행 받은 AJCC 병기 2기 및 3기의 직장암 환자 307명을 조기 방사선치료군(arm Ⅰ)과 지연 방사선치료군(arm Ⅱ)로 나누어 방사선치료와 화학요법을 시행하였다. 방사선치료는 전골반 영역에 45 Gy/25 fractions/5 weeks를 시행하였고, 화학요법은 5-FU 375 ㎎/㎡/day와 leucovorin 20 ㎎/㎡/day를 방사선치료와 동시치료기간에는 3일씩, 화학요법 단독기간에는 5일씩 총 8회를 정맥주사하였다. 조기 방사선치료군에서는 1회차 화학요법과 동시에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였고, 지연 방사선치료군에서는 3회차 화학요법에 맞추어 방사선치료가 시행되었다. 307명 환자 중 50명이 본 연구에서 예정되었던 대로 방사선치료 혹은 화학요법을 받지 않았으며, 생존 환자 264명의 중앙추적관찰기간은 40개월이었다.
결과: arm Ⅰ은 151명, arm Ⅱ는 156명이 할당되었고, 5년 전체생존율은 양군에서 각각 78.3%, 78.4%였고, 5년 무병생존율은 각각 68.7%, 67.5%로 양군 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양군 간의 5년 국소재발율은 6.6%, 6.4 (p=0.46)였고, 5년 원격전이율은 23.8%, 29.5% (p=0.16)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방사선치료 중 RTOG grade 1 이상의 백형구 감소증은 양군에서 63.6%, 67.3%로 나타났으나, ROTG grade 3 이상의 백혈구 감소증은 각각 1.3%, 2.6%로 매우 드물게 관찰되었다. NCI common toxicity criteria에 의한 grade 3 이상의 설사를 보고한 환자는 arm Ⅰ에서 63.0%, arm Ⅱ에서 58.2%였다 (p>0.05).
결론: 직장암의 근치적 절제술 후 보조적인 방사선화학요법으로 국소재발율을 낮출 수 있었다. 방사선치료와 화학요법의 순서에 따른 양군 간의 생존율과 치료 실패양상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수술 후 방사선화학요법에 대부분의 환자가 큰 부작용을 보이지 않았지만 치료 순응도는 더 높아져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Purpose: To determine the optimal scheme of postoperative chemoradiotherapy in rectal cancer by comparing survival, patterns of failure, toxicities in early and late radiotherapy groups using a phase Ⅲ randomized prospective clinical trial.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1996 to March 1999, 307 patients with curatively resected AJCC stage Ⅱ and Ⅲ rectal cancer were assigned randomly to an 'early (151 patients, arm Ⅰ)' or a 'late (156 patients, arm Ⅱ)' and were administered combined chemotherapy (5-FU 375 ㎎/㎡/day, leucovorin 20 ㎎/㎡, Ⅳ bolus daily, for 3days with RT, 5days without RT, 8 cycles with 4weeks interval) and radiation therapy (whole pelvis with 45 Gy/25 fractions/5 weeks). Patients of arm Ⅰ received radiation therapy from day 1 of the first cycle of chemotherapy and those of arm Ⅱ from 57 with a third cycle of chemotherapy. The median follow-up period of living patients wes 40 months.
Results: Of the 307 patients enrolled, fifty patients did not receive scheduled radiation therapy or chemotherapy. The overall survival rate and disease free survival rate at 5 years were 78.3% and 68.7% in arm Ⅰ and arm Ⅱ, respectively,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distant metastasis rates of the two arms (23.8% and 29.5%, p=0.16). During radiation therapy, grade 3 diarrhea or more, by the NCI common toxicity criteria, was observed in 63.0% and 58.2% of the respective arms (p=N.S.), but most were controlled with supportive care. Hematologic toxictity(leukopen-
-ia) greater than RTOG grade 2 found in only 1.3% and 2.6% of patients in each respective arm.
Conclus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urvival, patterns of failure or toxicities between the early and late radiation therapy arms. Postoperative adjuvant chemoradiation was found to be a relatively safe treatment but higher compliance in needed.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