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LINAC- bas ed Stereotactic Radios urgery for Meningiomas
- 발행기관
- 대한방사선종양학회
- 저자명
- 신성수(Seong Soo Shin) 김대용(Dae Yong Kim) 안용찬(Yong Chan Ahn) 이정일(Jung Il Lee) 남도현(Do-Hyun Nam) 임도훈(Do Hoon Lim) 허승재(Seung Jae Huh) 여인환(Inhwan J Yeo) 신형진(Hyung Jin Shin) 박관(Kwan Park) 김보경(BoKyoung Kim) 김종현(Jong Hyun Kim)
- 간행물 정보
-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제19권 제2호, 87~94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종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1.06.30
국문 초록
목 적 :수막종 환자에 대한 선형가속기를 이용한 정위방사선수술의 임상 경과, 영상의학적 반응, 그리고 신경학적 후유증을 분석하여 수막종에서 정위방사선수술의 역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5년 2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26명의 수막종 환자에 대해 선형가속기를 이용한 정위방사선수술을 시행하였다. 9명은 외과적 절제술이 선행되었으며 나머지 17명은 정위방사선수술만 시행되었다. 대상환자들의 남녀 비는 7:19이었고, 연령 분포는 14∼67세(중앙값 51세)이었다. 정위방사선수술 당시 17명에서 병변으로 인한 신경학적 증상을 보였다. 종양 용적의 범위는 0.7∼16.5 cm3 (중앙값 4.7 cm3)이었고, 정위방사선수술 시 처방선량은 최대선량 기준으로 46∼90% (중앙값 80%) 등선량곡면에 10∼20 Gy (중앙값 15 Gy)이었다. 임상 추적관찰 기간은 1∼71개월(중앙값 27개월)이었고 영상 추적관찰 기간은 1∼52개월(중앙값 25개월)이었다.
결 과 :정위방사선수술 당시 임상 증상이 있었고 임상 추적관찰 기간이 1년 이상인 14명 중 13명(93%)에서 증상의 소멸 및 완화를 보였으며, 나머지 1명은 치료 후 4개월부터 종괴효과로 증상이 악화되어 7개월 후에 외과적 절제술을 시행 받았다. 영상 추적관찰 기간이 1년 이상인 14명의 환자들 중 7명(50%)은 정위방사선수술 후 6∼25개월(중앙값 11개월)에 종양 크기의 감소를 보였고, 6명(43%)은 종양 크기의 변화가 없었다. 종양 크기의 증가를 보인 1명(7%)은 외과적 절제술을 시행 받았다. 6명(23%)의 환자에서 정위방사선수술 후 새로운 신경학적 후유증이 발생하였으며, 이 중 5명은 일시적 후유증으로 스테로이드 투여 등의 보존적 치료 후에 증상이 소멸되었고, 1명은 정위방사선수술로 인한 조직 괴사로 외과적 절제술을 시행 받았다.
결 론 :정위방사선수술을 이용한 수막종의 치료는 외과적 절제술이 불가능한 경우, 불완전한 절제술을 시행한 경우, 그리고 수술 후 재발한 경우에 안전하고 매우 효과적인 치료 방법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더 오랜 기간의 추적관찰이 필요하며 종양용적이 크고 주위에 결정장기가 있는 경우에는 신경학적 후유증을 줄이기 위해 좀 더 신중한치료 계획 및 선량 결정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Purpose : To evaluate the role of LINAC- based stereotactic radiosurgery (SRS) in the management of
meningiomas , we reviewed clinical response, image response, neurologica l deficits for patients treated at
our institution.
Methods and Materials : Between February 1995 and December 1999, twenty- s ix patients were treated with SRS. Seven patients had undergone prior resection. Nineteen patients received SRS as the initial treatment. There were 7 male and 19 female patients . The median age was 51 years (range, 14∼67 years). At least one clinical symptom presented at the time of SRS in 17 patients and cranial neuropathy was seen in 7 patients . The median tumor volume was 4.7 cm3 (range, 0.7∼16.5 cm3). The mean marginal dose was 15 Gy (range, 10∼20 Gy), delivered to the 80% isodose surface (range, 46∼90%). The median clinica l and imaging follow- up periods were 27 months (range, 1-71 months) and 25 months (range, 1∼52 months), respectively.
Results :Of 14 patients who had clinical follow- up of one year or longer, thirteen patients (93%) were improved clinically at follow- up examination. Clinical symptom worsened in one patient at 4 months after
SRS as a result of intratumoral edema, who underwent surgical resection at 7 months . Of 14 patients who had radiologic follow- up of one year or longer, tumor volume decreased in 7 patients (50%) at a median of 11 months (range, 6∼25 months), remained stable in 6 patients (43%), and increased in one patient (7%), who underwent surgical resection at 44 months . New radiation- induced neurological deficits
developed in s ix patients (23%). Five patients (19%) had trans ient neurological deficits , completely resolved
by conservative treatment including steroid therapy. Radiation- induced brain necros is developed in one
patient (3.8%) at 9 months after SRS who followed by surgical resection of tumor and necrotic tissue.
Conclusions : LINAC- based SRS proves to be an effective a nd safe management strategy for small to moderate s ized meningiomas , inoperable, res idual, and recurrent, but long- term follow- up will be necessary to fully evaluate its efficacy. To reduce the radiation- induced neurological deficit for large s ize meningioma and/or in the proximity of critical and neura l structure, more delicate treatment planning and optimal decis ion of radiation dose will be necessary.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