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on the School Related Problem Behaviors of a Child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차재경(Cha, Jae kyoung) 김진호(Kim, Jinho H.)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44권 제3호, 169~19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2.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다중요소로 구성된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발달장애아동의 학교생활 문제행동에 대한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다중요소로 구성된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는 가정중재, 교실중재, 개별중재로 구성되었다. 연구 대상은 A시에 소재하는 일반 초등학교의 학습 도움실에서 전일제 수업을 받는 한 명의 발달장애아동으로서, 학교생활에서 여러 가지 문제행동을 보이고 있었다. 중재 도입에 앞서 대상아동과 문제행동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고 중재프로그램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체계적인 기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대상아동에게 가정에서 어머니 교육을 통한 가정중재, 학교 현장에서 교사교육을 통한 특수교사의 교실중재, 그리고 대상아동에 대한 개별중재로 구성된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적용하였다. 중재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단일대상연구의 행동간 중다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로 다중요소로 구성된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는 발달장애아동의 학교생활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개별중재와 아울러 가정 및 교실중재를 함께 실시한 다중요소로 구성된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프로그램을 구체적으로 구성하여 적용한 것에 그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to school related problem behaviors of a child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functional behavior assessment/direct observation of the investigator and the interviews with the mother and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training intervention and three school related problem behaviors were selected. This study used a single subject research design which was a multiple baseline across behaviors. The experimental design put into effect in the order of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phas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positive effects on the reducing of crying behavior through the positive behavior support intervention. Second, there were positive effects on the reducing of eating problem behavior through the positive behavior support intervention. Third, there were positive effects on the reducing of cleaning problem behavior through the positive behavior support interven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using positive behavior support intervention is effective on reducing school related problem behaviors of a child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And the intervention effects were maintained after the PBS intervention phase. Social validation data and the results of the interview with the mother and the teacher verified the effects of the PBS intervention.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