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Keratinocyte-derived Factors Involved in Transforming the Morphologies of Melanocyte and in Translocating Melanosomes to Keratinocyte
- 발행기관
- 대한해부학회
- 저자명
- 윤용현(Yong Hyun Yoon) 김주영(Joo Young Kim) 송인환(In Hwan Song) 성언기(Eon Gi Sung)
- 간행물 정보
- 『대한해부학회지』제40권 제3호, 235~241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6.30
국문 초록
각질세포분비물은 피부색을 결정하는 멜라닌세포의 성장과 분화 혹은 멜라닌의 합성과 이동에 영향을 미친다. 이들의 효과를 알고자 본 실험에서는 인체의 음경껍질에서 분리 배양된 각질세포와 멜라닌세포를 공동배양 하였고, 그 결과를 순수배양과 혼합배양을 시행하여 비교하였다. 멜라닌세포의 활성화 정도를 알고자 가지돌기 수와 세포면적을 계산하였고, 티로시나제의 농도를 측정하여 생성된 멜라닌의 양을 비교하였으며, 투과전자현미경 표본으로 멜라닌소체의 이동을 관찰하였다. 공동배양의 멜라닌세포가 순수배양과 비교하여 세포면적(p⁄0.05)에는 유의한 증가가 있었으나 가지돌기 수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공동배양 2일과 4일째의 티로시나제의 농도는 순수 및 혼합배양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높았다(p⁄0.05). 공동배양에서는 배양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티로시나제의 농도가 감소하였으나 순수 및 혼합배양에서는 증가하였고, 배양 6일째에 모든 배양에서 유사한 농도를 보였다. 공동배양에서 티로시나제의 농도가 배양액에서는 높았으나 각질세포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공동배양 및 혼합배양에서 각질세포로 이동된 멜라닌소체를 투과전자현미경 표본에서 관찰할 수 없었다. 결과적으로 각질세포분비물은 멜라닌세포의 형태와 멜라닌의 합성에는 영향을 미쳤으나, 멜라닌소체의 각질세포로의 이동에는 도움을 주지 않았다.
영문 초록
Keratinocyte-derived factors are involved in regulating the proliferation, differentiation or melanogenesis
of melanocyte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keratinocyte-derived factors on the skin pigmentation, human
melanocytes and keratinocytes were cultivated in the forms of pure melanocyte or keratinocyte culture system, co-culture system (melanocytes and keratinocytes were cultivated together in a vessel but they were separated with semipermeable membrane) or mixed culture system (melanocytes and keratinocytes were cultivated together in a vessel in mixed form). The authors studied the cellular features (dendritogenesis and area) and the tyrosinase activities and observed the electron microscopic structures for melanosome transfer. Melanocyte in co-culture system increased in the area (p⁄0.05) but not in the dendritogenesis compared with the melanocyte in pure culture system. The tyrosinase activities of co-culture system on the 2nd and 4th day revealed higher compared with the ones of the pure and mixed culture system (p⁄0.05). In the co-culture system, the tyrosinase activities were gradually decreased with the lapse of time and vice versa in the pure and mixed culture system. On the 6th day culture, all of the three melanocyte culture systems showed the same tyrosinase activities. In spite of high tyrosinase activities in the medium, there were no tyrosinase activities in keratinocytes with the co-culture system. In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ic findings, there were scant of melanosomes in keratinocytes with the co-culture and mixed culture systems. In conclusion, keratinocyte-derived factors modulate the activities and melanogenesis of melanocytes but there were no effects on melanosome transfer
to keratinocyte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