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Postnatal Developmental Expression of TEM7 mRNA and its Putative Ligand in the Rat Cerebellum
이용수 3
- 영문명
- 발행기관
- 대한해부학회
- 저자명
- 강동식(Dong Sik Kang) 서인애(In Ae Seo) 이현경(Hyun Kyoung Lee) 정진용(Jin Yong Chung) 김종민(Jong-Min Kim) 이규열(Kyu Yeol Lee) 박환태(Hwan Tae Park)
- 간행물 정보
- 『대한해부학회지』제38권 제5호, 469~475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10.31

국문 초록
Tumor endothelial marker 7 (TEM7)는 암세포의 혈관내피세포와 소뇌 신경세포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세포막 단백질이다. 본 연구에서는 in situ hybridization과 ligand binding assay를 이용하여 발생중인 흰쥐소뇌에서 TEM7 mRNA와 그 가상적인 리간드의 발현을 조사하였다. 분비되는 형태로 만들어진 TEM7 세포외부분의 재조합 단백질을 이용하여 리간드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TEM7의 가상적인 리간드는 소뇌 조롱박세포의 가지돌기가 존재하는 분자층에 특이적으로 분포하였다. 발생학적인 연구는 조롱박세포에서 TEM7 mRNA의 발현이 나이에 따라 증가함을 보여 주었고, 분자층에 존재하는 가상적인 리간드는 출생후 발육과정 전 기간에 걸쳐 존재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TEM7과 리간드의 상호작용이 출생 후 발달과정동안 조롱박세포의 분화에 중요한 기능을 함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Tumor endothelial marker 7 (TEM7) is a putative transmembrane protein that is highly expressed in the tumor endothelium and cerebellar neurons. In the present study, the expression profile of TEM7 mRNA and its putative ligand in the developing cerebellum of the rat was investigated using in situ hybridization and ligand binding
assay. The secreted recombinant ectodomain of TEM7 was employed to label the expression of putative ligand of
TEM7 in the cerebellum. The expression of a putative ligand of TEM7 demonstrated by using TEM7 ectodomain was
found in the molecular layer of the cerebellum, where the dendritic trees of Purkinje cells are present. A developmental study has shown that TEM7 mRNA expression in the Purkinje neurons was increased with age during postnatal development, whereas the putative ligand labeling in the molecular layer was observed throughout the developmental period.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EM7-ligand interaction plays a role in the differentiation of Purkinje cells during postnatal development.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