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TNFα and TNFR2 Immunohistochemistry During Ovarian Follicular Development and Atresia in the Rat
이용수 17
- 영문명
- 발행기관
- 대한해부학회
- 저자명
- 한승로(Seung Ro Han) 손성경(Sung Kyong Son) 양윤석(Yun Seok Yang) 김원식(Won Sik Kim)
- 간행물 정보
- 『대한해부학회지』제38권 제6호, 553~559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12.31

국문 초록
TNFα는 난소의 발생과 기능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사이토카인(cytokine)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TNFα 수용체의 확인은 TNFα의 역할을 입증하는데 기여하였다.
TNFα는 TNF 수용체 1 (TNFR1) 또는 TNF 수용체 2 (TNFR2)와 결합함으로써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TNFα가 TNFR2와 결합시에는 과립층세포의 증식을 초래하게 된다.
본 연구를 통해 흰쥐 난소에서, 건강한 난포에서는 과립층의 바깥층에서 TNFα와 TNFR2에 강한 반응이 관찰되었고 아울러 많은 증식세포를 관찰했으며 세포자멸사는 관찰되지 않았다. 반면 폐쇄난포에서는 TNFα와 TNFR2의 발현이 과립층에서 급격히 감소하였고 이곳에서 많은 세포자멸사를 볼 수 있었다.
이같은 결과로 볼 때 TNFα는 흰쥐 난소에서 난포폐쇄시 과립층세포의 생존요소로서 작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Tumor necrosis factor alpha (TNFα) is an intraovarian cytokine that may play a role in ovarian development and function. Identification of ovarian TNFα receptors provides support for establishing a role of TNFα
in ovarian development and function.
TNFα exerts its effects by binding to either TNF receptor 1 or 2 (TNFR1 or TNFR2). When TNFα binds with
TNFR2, expression of survival genes is up-regulated, resulting in proliferation of granulosa cells.
In the present study, the authors identified the changes in localization of TNFα and the expression of TNFR2 in
granulosa cells during follicular atresia in rat ovaries. In healthy follicles, intense signals for TNFα and TNFR2 were found in the outer surface of the granulosa layer, where many proliferating cells and no apoptotic cells were observed.
In atretic follicles, decreased expression of TNFα and TNFR2 was observed in the granulosa layer, where many
apoptotic cells were seen.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TNFα acts as a survival factor in granulosa cells during follicular atresia in rat ovaries.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