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국문 초록
케톤생성 식이요법은 항경련 약물에 반응하지 않는 난치성 소아간질에 오래 전부터 사용되고 있는 효과적인 치료 방법 중에 하나이다. 그러나 항경련 기전에 관해서는 현재까지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케톤생성 식이요법이 억제성 신경전달 물질인 GABA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면역 조직 화학법과 노던 블랏팅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케톤생성 식이요법이 해마 내 GABA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GABA transporter1(GABA-Tp)과 GABA transaminase (GABA-T) mRNA의 레벨을 감소시키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케톤생성 식이요법은 GABA의 재흡수를 억제하거나, 분해를 억제하여 연접 공간에서 GABA 수준을 증가시킴으로써 항경련 효과를 유도해 냄을 유추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ketogenic diet (KD) has been used to treat intractable childhood epilepsy. However, its mechanism of action remains unknown. In the present study, we examined the effects of KD on the expression of multiple constituents of the GABAergic system in the hippocampus through immunohistochemistry and northern blot analysis.
From the results, we have shown that KD increased expression of GABA and decreased GABA transporter1 (GABATp)
and GABA transaminase (GABA-T) mRNA levels in the hippocampu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neuroinhibitory
effect of KD may be mediated, at least in part, by the increment of GABAergic activity in the hippocampus. KD
may increase the GABA levels in the synaptic space by limiting GABA reuptake and in the presynaptic nerve terminal by inhibiting GABA degradation.
노해숙(Hae Sook Noh),권오영(Oh-Young Kwon),윤혜정(Hae Jeong Yun),강상수(Sang Soo Kang),조경제(Gyeong Jae Cho),최완성(Wan Sung Choi). (2007).The Changes in the Expression of γ-Aminobutyric Acid Related Enzymes in the Mouse Hippocampus Following Ketogenic Diet. 대한해부학회지, 40 (3), 219-225
MLA
노해숙(Hae Sook Noh),권오영(Oh-Young Kwon),윤혜정(Hae Jeong Yun),강상수(Sang Soo Kang),조경제(Gyeong Jae Cho),최완성(Wan Sung Choi). "The Changes in the Expression of γ-Aminobutyric Acid Related Enzymes in the Mouse Hippocampus Following Ketogenic Diet." 대한해부학회지, 40.3(2007): 219-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