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Product Design's Influence on Consumers' Response as the vividly Stimulant Media in the Cases of High/Low Involvement Products
- 발행기관
- 한국상품학회
- 저자명
- 박종찬(Park, Jong-Chan)
- 간행물 정보
- 『상품학연구』제27권 제3호, 157~171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9.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소비자들이 시장에서 제품을 구매하면서 비교, 평가하는 과정에서 자극매체로서의 생생한 제품디자인에 대한 소비자가 어떻게 반응하는지에 대한 제품디자인과 소비자반응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자극물인 대상제품 선정과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측정, 수량화함으로 실증분석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가 제품디자인을 상품속성의 집합 내지는 뭉치(bundle of attributes)로 보고 지각하는 경향이 있어, 소비자 관여도에 따라 제품 다자인이 어떻게 설득되어 지는 지 알아보기 위해, 저/고 관여 제품을 각각 3개씩 선정하고 제품 디자인 가치를 3가지 속성가치(기능적, 감각적, 의미적, 정보적 가치)로 구성하고 이 속성가치가 소비자의 어떤 반응요인(인지적, 정서적 반응)과 관련이 있는지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저/고 관여제품에 관계없이 기능적 가치는 모두 인지적, 정서적 반응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그러나 고 관여 제품과는 달리 저 관여제품에서는 감각적 가치, 의미적 가치가 인지적 반응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고,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research tries to define the causal relation between the product design and the consumers' response. It is studied how the consumers respond on the vividly design of the products as the stimulant media during the procedure of comparison and evaluation, when they purchase the products in the market.
The consumers realize the product design as the collection or bundle of products attributes. In order to find out how the product design is persuaded depending on the consumers' participation level, three products are selected for the each case of high/low involvement products. The value of product design is assumed to consist of four attributes value groups such as functional, sensual, sematic, and informational value, and the response of consumers is categorized into the responses of recognition and emotion. This research examiner the relation between the products attributes value and the response of consumers.
This research shows that the functional value exerts effect on the consumers' recognition and emotion in the both cases of high/low involvement products.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sensual and semantic values have effects only on consumers' recognition, in the case of low involvement product different from high involvement products. Finally,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 is suggested. At the same time, the limitation of this research and further research direction are made as well.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