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3rd Order Network Adjustment Strengthening by 5km GPS Observation
- 발행기관
- 한국지적학회
- 저자명
- 이영진(Lee, Young-Jin) 정광호(Jung, Kwang-Ho) 송준호(Song, Jun-Ho) 차상헌(Cha, Sang-Heon)
- 간행물 정보
- 『한국지적학회지』한국지적학회지 제25권 제1호, 271~281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6.30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세계측지계 전환을 위하여 2006년도의 3등 측지기준점 망조정 연구에 이어 2006년 이후 GPS방식에 의해 5km 간격으로 강화된 GPS관측데이터의 망조정을 실시하였다.
총 25개 사업지구에서 관측된 약 3,000여 삼각점의 관측데이터를 10개의 조정블럭으로 구성하여, 최소제약조정을 실시하고, GPS2등기준점을 다점고정하는 망조정에 의한 조정성과의 적합성을 검토하기 위해 2006년 망조정 연구와 중복점 좌표차를 비교분석한 결과 RMSE에서 약 수평방향 ±0.015m, 수직방향 ±0.033m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NGII) has performed GPS campaigns over the geodetic network established by EDM technique. Total number of the control points re-observed by GPS is about 3,000 points by 25 campaigns and average baseline length is 5km. This research derives new coordinate sets of the GPS observed control points by adjusting 3-dimensional baseline vectors. In the adjustment, After composing 10 block networks, both of minimally constrained and over constrained adjustment were carried out in order to handle outliers in the measurements and estimate final coordinates. A comparison of the estimated coordinate in the research with the published ones by NGII was made to examine their accuracy. The differences of overlap points indicate that RMSE is around ±0.015m and ±0.033m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component, respectively.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기존 3등측지기준점 망조정
3. 관측데이터
4. 블럭의 구성과 최소제약조정
5. 블럭별 성과산정 및 조정결과 분석
6.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