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Impact of Exercise and Self-Leadership both on Self-efficacy and Personal Performance
- 발행기관
- 한국인사관리학회
- 저자명
- 정대용(Jung Dae Young) 김인건(Kim In Gun) 김희숙(Kim Hee Sook)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사관리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2008 하계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1~1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8.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기업가(개인)의 규칙적 운동과 셀프 리더십이 기업가의 (목표)성과에 미치는 영향 과정을 실증적으로 조사하기 위해 시도되는 탐색적 연구이다. 문헌고찰을 통하여 규칙적 운동과 셀프 리더십이 자기효능감과 기업가의 성과 모두에 영향을 주기에 자기효능감이 규칙적 운동과 셀프 리더십이 기업가의 성과에 주는 영향을 매개하는지를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의 대상은 시험의 합격이라는 분명한 목표를 설정하여 놓고, 규칙적 운동과 셀프 리더십을 통하여 목표 성과를 향해 학습하는 경희대학교 고시반의(공인회계사, 사법시험, 행정/외무고시 등) 수험생을 대상으로 규칙적 운동 및 셀프리더십이 자기효능감과 개인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질문지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규칙적 운동참여는 자기효능감과 개인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냈다. 둘째, 셀프 리더십은 자기효능감과 개인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냈다. 셋째, 자기효능감은 개인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자기효능감은 셀프 리더십이 개인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적으로 매개함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examines how Regular exercise and the self-leadership affects on self-efficacy and personal performance. We design the research model and research hypotheses based upon this literature study. The empirical studies were also conducted on our research model. The questionnaire method was used to collect data to test our research hypotheses and regression analysis for testing hypotheses using SPSS program. Results indicate the regular exercise do not statistically affect on self-efficacy and personal outcomes. And the self-efficacy affected on personal performance. Suggestions then are provided for future research.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