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orters` Market Power in Agricultural Import Markets in Korea
- 발행기관
- 개인저작물
- 저자명
- 양승룡 이원진
- 간행물 정보
- 『개인저작물 - 사회』제42권 제1호, 99~115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개인저작물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1.03.01
국문 초록
Korea relies more than 70 percent of food supply on a limited number of exporting counties. If the suppliers possess market power, the food security matters. This study tested whether the major exporting countries of corn and wheat have power of determining market prices and enjoy oligopolistic profit in Korea.
The empirical results indicate that Korea shows a high degree of import loyalty toward U.S. products. It is evident that the U.S. and Australia have market power in the wheat market, while no distinct power is detected in the com market. The result for the corn market seems to reflect the severe price competition between the two major exporters, the U.S. and China. It is also shown that the launch of the WTO does not significantly change the structure of market power in the markets conside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to diversify import sources and to use futures contracts and long-term agreements to enhance food security.
영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농산물 수입시장서 서 가장 커다란 시장점유율을 유지하는 미국과 주요 수출국들이 실제로 가격결정에 있어서도 독과점적 이윤을 얻고 있는가를 검정하고자 한다.구체적으로 본 연구의 부석 내용은 다음과 같다.첫째,특정 수출국으로부터의 지속적인 수입경향으로 정의되는 수입충성도를 계측하는것이다.시장점유율을 기초로한 Markov 모형을 이용하여 전환확률행렬을 추정하여 수입충성도를 구하고,이를 기초로 하여 장기균형 시장점유율을 구한다.둘째,각 수출국의 시장지배력을 분석한다.산업조직이론에서 시장지배력의 측정은 가격과 한계비용의 차이가 가격에서 차지하는 비율로 정의 되는 Lerner의 산업구조지수를 이용한다.그러나 실제로 한 산업이나 국가의 한계비용을 계측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아 실증적 분석에서는 한계비용 대신 평균비용을 이용한다.그러나 이는 해당산업의 기술이 1차 동차적이라는 엄격한 가정을 요구한다.
목차
ABSTRACT
I. 서론
II. 분석방법 및 자료
1. 가격수준 및 안정성의 동일성 검정
2. 일물일가의 법칙
3. Granger의 인과성 검정
4. 분석자료
III. 분석 결과
1. 가격분포의 동일성 검정
2. 일물일가에 대한 검정결과
3. Granger 인과성 검정결과
IV. 요약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