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Weight Change associated with Oxcarbazepine Monotherapy of Childhood Epilepsy
- 발행기관
- 대한소아신경학회
- 저자명
- 김영미(Young Mi Kim) 남상욱(Sang Ook Nam)
- 간행물 정보
- 『Annals of Child Neurology(구 대한소아신경학회지)』대한소아신경학회지 제11권 제1호, 73~81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05.30

국문 초록
목적 : 체중 증가는 항경련제 투여에 따라 나타나는 흔한 부작용으로 약물의 순응도를 떨어뜨릴 뿐 아니라 새로운 건강상의 문제를 일으킨다. 저자들은 소아 간질 환아에서 oxcarbazepine 단독투여 후의 체중의 변화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방법 : 2000년 11월부터 2002년 8월까지 부산대학교병원 소아과에서 oxcarbazepine을 투여한 211명 중 3개월 이상 동안 oxcarbazepine을 단독 투여한 71명(남아 : 40명, 여아 : 31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통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체중은 연령, 성별에 맞추어 standard deviation score(SDS)로 표시하고 paired t-test를 이용하여 성별, 연령, 간질의 종류에 따른 비교 분석을 하였다.
결과 : 대상 환아의 평균 연령은 7.3세(범위 : 0.4-14세)였고 부분발작을 보인 환아는 53명(74.6%), 전신발작은 15명(21.1%), 혼합형은 1명(1.4%), 미분류된 환아는 2명(2.8%)이었으며, 특발성 간질은 66명(93.0%), 증후성 간질은 5명(7.0%)이었다. 치료 전후 체중을 측정한 시간 간격은 평균 3.8개월이었다. 대상 환아 71명의 체중 SDS는 치료 후 의미있게 증가하였으며(P<0.05), 남아의 체중 SDS는 치료 후 의미있게 증가하였고(P<0.05), 여아의 체중 SDS는 증가하였으나 유의한 정도는 아니었다. 7세 미만 환아의 체중 SDS는 치료 후 의미있게 증가하였고(P<0.05), 7세 이상 환아의 체중 SDS는 증가하였으나 유의한 정도는 아니었다. 부분발작 환아에서 체중 SDS는 치료 후에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P<0.05), 전신발작 환아의 체중 SDS는 증가하였으나 유의한 정도는 아니었다. 특발성 간질 환아의 체중 SDS는 치료 후 의미있게 증가하였고(P<0.05), 증후성 간질 환아의 체중 SDS는 증가하였으나 유의한 정도는 아니었다. 치료 전 음성 SDS를 보인 환아는 치료 후 체중 SDS가 의미있게 증가하였으나(P<0.05), 치료 전 양성 SDS를 보인 환아는 체중 SDS는 증가하였으나 유의한 정도는 아니었다.
결론 : Oxcarbazepine 단독요법군에서 의미 있는 체중 증가를 보였으며, 특히 남아, 7세 미만의 환아군, 부분발작 환아, 특발성 간질 환아, 치료 전 음성 SDS를 보인 환아에서 의미 있는 체중 증가를 보였다.
영문 초록
Purpose : To evaluate the changes of bodyweight associated with oxcarbazepine monotherapy in children with epilepsy.
Methods :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review of 71 childhood epileptic patients(40 boys, and 31 girls) attend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on oxcarbazepine monotherapy for at least 3 months. We evaluated the changes of standard deviation scores (SDS) between the baseline bodyweight and the post-treatment bodyweight.
Results :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at diagnosis was 7.3 years old and the mean bodyweight SDS at diagnosis was 0.389±1.560. After the administration of oxcarbazepine, the mean bodyweight SDS increased substantially to 0.577±1.795(P<0.05). Significant increase of the bodyweight SDS were observed especially in boys, children under 7 years old, patients with partial seizures, patients with idiopathic epilepspes, and patients with negative bodyweight SDS at diagnosis.
Conclusion : Oxcarbazepine monotherapy was associated with significant weight gain in children with epilepsy. It is necessary to warn patients starting oxcarbazepine medication of the possible bodyweight gain and to advise to start diet and an routine exercise.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