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ase Of Acute Fulminating Myasthenia Gravis In Childhood
- 발행기관
- 대한소아신경학회
- 저자명
- 최원석(Won Seok Choi) 한승훈(Seung Hun Han) 김선미(Sun Mi Kim) 이정현(Jung Hung Lee) 정대철(Dae Chul Jeong) 김진택(Jin Tack Kim) 강진한(Jin Han Kang) 김민욱(Min Wook Kim) 정승연(Seung Yun Chung)
- 간행물 정보
- 『Annals of Child Neurology(구 대한소아신경학회지)』대한소아신경학회지 제10권 제1호, 160~165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2.05.30
국문 초록
저자들은 근무력증의 증상이 없었던 환아에서 상기도 감염 후 갑자기 발생한 연하장에 및 사지마비로부터 급격하게 진행된 호홉 마비를 주소로 내원한 3세 남아에서 임상경과와 neostigmine 검사와 반복 신경 자극 근전도 검사에 의해 근무력증 위기로 진행된 급성 전격성 소아 중증 근무력증을 확진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영문 초록
Juvenile myasthenia gravis is an acquired autoimmune disorder of childhood, in which circulating antibodies against the acetylcholine receptor(AchR Ab) interfere with normal neuromuscular transmission. Myasthenia gravis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is rare, comprising 10% of all cases.
The diagnosis is based essentially on the patient's history and clinical examination with a positive anticholinesterase(edrophonium or neostigmine) test. Electromyography (EMG) and serum AchR Ab are also important to confirm the diagnosis.
We report a case of acute fulminating myasthenia gravis in a 3 year old male patient who was suspected as Guillain-Barr syndrome or brain-stem encephalitis. Diagnosis was made by neostigmine test and EMG.
He recieved high dose intravenous immunoglobulin(IVIG, 400 mg/kg for 5days) and anticholinesterase(pyridostigmine) therapy. He showed gradual improvement in symptoms and signs.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