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개인저작물
- 저자명
- 김복순(金福順)
- 간행물 정보
- 『개인저작물 - 인문』제26집, 283~30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개인저작물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8.01

국문 초록
신라 중대와 하대의 불교사 연구를 정리해 보려는 것이 본 고의 요지이다. 신라 중대의 불교 연구는 원효교학의 완성과 화엄종 전교로, 하대의 불교연구는 선종 전래로 획을 그을 수 있다. 중대의 원효교학은 화엄종, 법상종과 함께 교학불교의 번성을 이루었다. 그 내용으로는 원효와 의상, 태현과 진표에 관한 연구가 주류를 이루었다. 또한 일실된 저술에 관심을 보이기도 하였다. 의상과 화엄종은 왕권과 관계, 화엄교리, 신앙 등에 관한 저술이 여럿 나왔다. 신라 하대의 불교연구는 선종에 집중되어 9산선문과 개별산문이 호족 내지 왕실과 결합된 사실이 나말여초의 변화상과 맞물려 연구되었다. 이는 곧 선사비문의 탐구로 이어져 번역과 주석 작업이 잇달아 일어났다, 이에 힘입어 정치, 사회사 연구에 도움을 주고 있다. 신라사회에서의 불교의 역할을 놓고 국가권력과 긴밀했는가 미약했는가 하는 관점의 차이가 가장 큰 논점이었다. 특히 지배층과 승려의 관계가 어떠하였는가 하는 논고들이 계율관, 저술, 자문역 등의 고찰을 통해 나오게 되었다. 이와 함께 불교신앙에 대한 이해가 깊어지면서 정토신앙, 아미타신앙, 관음신앙, 미륵신앙 등의 별개의 연구주제로 삼아졌다. 이 연구는 신라사회사의 일면을 밝혀 이를 통한 불교의 대중화가 이루어졌다는 점을 밝혀주었다. 또한 불교의 유입이 중국을 통해 법상종, 화엄종, 밀교, 선종 등 다양한 종파 형태로 들어와 신라에도 종파불교가 형성되었다는 견해가 있고 이와는 달리 이들을 회통시켜 통 불교적 특성을 나타낸다고 보는 견해가 도출되어있다. 신라의 불교가 국교였다는 사실은 승관제와 함께 불교통제기관의 규명에 대한 관심을 고조시켜 여러 논고가 나왔다. 이 문제는 근래까지 지속적인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또한 전불 7처가람설이 불국토사상의 형성과 관련하여 언급되기도 하고, 달구벌로의 천도문제와 관련시켜 이에 반대한 귀족들에 의해 생성된 것이라는 견해가 제기되었다. 신라의 유적 가운데 사찰에 대한 전반적인 고찰이 이루어졌다. 개별 사찰의 다양한 면모에 대해서도 깊이 있는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지역적인 고찰이 있었다. 최근 생명윤리에 대한 관심으로 신라 불교의 생명관, 생사관 죽음관 등이 연구대상이 되었다. 여성사의 일환으로 신라 여성들의 신앙생활과 비구니들의 수행모습이 고구된 바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researched to arrange studies of the present condition about Buddhism of Middle and Late Silla Dynasty. The study of Buddhism in Middle silla Dynasty is included to accomplish Won-hyo`s Creed, transplantation of the Hwa-en Sect, and in Late Silla Dynasty makes a stroke to be hand down the Zen Sect. in Middle Silla Dynasty Won-hyo`s creed with hwa-en Sect, Bup-sang Sect was flourished. That is rich in contents, the study of Won-hyo, I-sang, Tae-hyun, Jin-pyo etc. Moreover it is concerned about their losed writings. The study of I-sang and Hwa-en Sect is concluded to relation with a sovereign power, doctrine, belief etc. The study of Buddhism in Late silla Dynasty is concentrated upon Zen Sect. Their contents has the study of nine-mountain Zen-Sects and each, the study of a royal family and a powerhul family is converted to Zen priest under th Late silla conditions. That is connected the reserch to transtate and annotate of Zen priest`s inscription on a grave stone. The bic issue is difference of opinion that the role of Buddhism in silla society was intimate or faint to be related with the sovereign power. Also Buddhist commandments view, writings, providing advice and suggestions as requested etc. And a lively belief has been brought to light to become popularized. The other issue is a Sects of Buddhism in th middle and Late silla Dynasty or an instroduction to Buddhism. Because a Buddhism in silla society is a state religion, it is concerned a system of priest official and the temple`s control agency. It is accomplished the study of present remained silla temple. And a life view, a matter of life or death and female belief and life of Buddhism is also studied by many scholar.
목차
Ⅰ. 머리말
Ⅱ. 신라 불교사 연구의 어제와 오늘
Ⅲ. 왕권과 신앙, 그 상관관계
Ⅳ. 맺음말
초록
참고문헌
키워드
신라 불교사 연구현황(新羅 佛敎史 硏究現況
A study of the present condition and assignment about Buddhism of Middle and Late silla Dynasty)
중대 교학불교(中代 敎學佛敎
Budda`s doctrine in Middle silla Dynast)
하대 선종(下代 禪宗
Zen Sect in the late silla Dynasty)
왕권과 신앙(王權과 信仰
A sibereign power and belief)
종파불교(宗派佛敎
Sects of Buddhism in the Middle and Late Silla Dynasty)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