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generating processes of scientific emotion in the generation of biological hypotheses
- 발행기관
- 개인저작물
- 저자명
- 권용주(Yong-Ju Kwon) 신동훈(Dong-Hoon Shin) 박지영(Ji-Young Park)
- 간행물 정보
- 『개인저작물 - 사회』제25권 제4호, 503~513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개인저작물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8.01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생물학 가설 생성 중에 나타나는 과학적 감성 생성 과정을 밝히는 것이다. 먼저 예비연구를 통해 잠정적 모형을 구성하고, 사고 발성법 훈련계획을 확정하고, 표준화된 면접지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8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사고 발성법과 회상적 면접법, 심층 면접을 이용한 삼각측정법으로 언어적 프로토콜과 행동 프로토콜을 수집하였다. 잠정적 모형을 근거를 선언적 지식과 절차적 지식의 분석틀을 개발하였고, 이 분석틀을 이용하여 부호화 프로토콜을 개발하였다. 부호화 프로토콜을 분석한 결과 과학적감성 생성의 4가지 유형을 개발하였다. 첫 번째 생성유형은 기본 과정으로서 인식하기 전에 먼저 느끼는 과정을 설명한다. 두 번째 생성 유형은 회상적 과정으로서 과거의 감성기억이 되살아나는 과정을 설명한다. 세 번째 생성 유형은 인지적 과정으로서 인지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일어나는 일련의 사고 과정에서 생성되는 감성을 설명한다. 네 번째 생성 유형은 귀인 과정으로서 인지적 목표의 달성 여부에 대한 귀인평가 과정에서 생성되는 감성을 설명한다. 기본 과정에서 생성한 감성은 기본 감성이라 하고, 회상 과정에서 생성한 감성은 회상 감성이라 하고, 인지적 과정에서 생성한 감성은 인지적 감성이라 하고, 귀인 과정에서 생성한 감성은 귀인감성이라 한다. 개발된 과학적 감성 생성 과정 유형은 감성 생성 과정 모형 개발과 감성적 두뇌 기반 학습 전략 수립의 기초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generating processes of scientific emotion, that appears during
the generation of biological hypotheses. To perform the study, a tentative model was set up through pilot test, a think-aloud training procedure was planned and a standardized interview instrument was developed before getting protocols. In this study, 8 college students were selected to bring out protocol through the method of think-aloud, retrospective debriefing, focused interview and observing. As the result of analysis of the collected protocol through coding scheme, 4 types of process for scientific emotion-generating were sorted out. First type was a basic process which was a feeling process in prior to recognition. Second type was a retrospective process that explains the process of retrospect for emotional memory based on the past. Third type was a cognitive process and it explains emotion that occurs during thinking process to achieve cognitive goal. Fourth type was an attribution process and it explains that emotion i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attribution for cognitive goal`s achievement. These types of process of scientific emotion-generating can contribute the basis for developing cognitive model of EBL (Emotional Brain-based Learning) strateg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초록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