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s of Need for Cognition on Mental Accounting Principle
- 발행기관
- 한국상품학회
- 저자명
- 전기흥(Jeon, Ki-Heung)
- 간행물 정보
- 『상품학연구』제26권 제4호, 75~82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12.31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심적 계산 원리의 적용에 있어서 소비자의 인지욕구의 역할을 규명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 소비자의 인지욕구는 높음과 낮음으로 분류하였다. 심적 계산 원리는 4가지로(이익+이익, 이익+손실, 손실+이익, 손실+손실) 구분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인지욕구 수준이 높은 소비자에게서는 심적 계산 원리가 적용되지 않았다. 그렇지만 인지욕구의 수준이 낮은 소비자에게서는 심적 계산 원리가 그대로 적용되었다. 구체적으로 인지욕구 수준이 낮은 소비자는 이익+이익의 경우, 분리를 선호하였다. 이익+손실의 경우, 통합을 선호하였다. 손실+이익의 경우, 분리를 선호하였다. 손실+손실의 경우, 통합을 선호하였다. 그러나 인지욕구 수준이 높은 소비자는 각 조건에서 통합 및 분리의 선호가 유의하지 않았다.
영문 초록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ole of need for cognition on mental accounting principle. This research splits Need for Cognition(=NFC) by median point. And the principle of mental accounting is composed of four sections(=gain+gain, gain+loss, loss+gain, loss+loss).
The empirical research outcome: In high level of need for cognition, mental accounting did not work. In low NFC, however, the principle was applicable. Specifically, consumers who are in nature of low NFC prefer segregation to aggregation when "gain+gain"section. If the section is "gain+loss", the pattern is reversed –aggregation preferred to segregation. If "loss+gain"then segregation preferred, while "loss+loss" section preferred aggregation. On the other hand, consumers who are in nature of high NFC do not prefer either aggregation or segregation according to each section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