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서사의 디지털 자질과 서사 공간

이용수 144

영문명
An Essay on the Digital Features of Narrative and Narrative Space
발행기관
한국언어문학회
저자명
장일구(Jang Ilgu)
간행물 정보
『한국언어문학』韓國言語文學 第67輯, 487~514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12.3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문 초록

Digital could be undertood a constitutional notion not as a substantial one. So it is necessary to treat its features for reasonable arguments. One can note the core digital features: interactivity, hypertextuality and multi-media. Not all digital devices realize the digital features, or non-digital media might show digital-like features close to interactivity and hypertextuality. Some notions realtive to the narrative space would be the digital features of narrative. Spatial form in written narrative is a crucial phase of digital narrativities, and virtual reality simulated in recent fantastic novels is a eminent corresponding digital experence. I will argue on the digital features of narrative relative to the above two phases of narrative space, and expand the arguemental horizon of digital narratives.

목차

1. 문제들
2.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공간 자질
3. 서사의 디지털 자질과 공간 형식
4. 디지털 공간과 서사 공간의 기획
5.지평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일구(Jang Ilgu). (2008).서사의 디지털 자질과 서사 공간. 한국언어문학, 67 , 487-514

MLA

장일구(Jang Ilgu). "서사의 디지털 자질과 서사 공간." 한국언어문학, 67.(2008): 487-514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