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mericanization of Social Science Paradigm: The Dissemination of Modernization Theory and Its reception in South Korea
- 발행기관
- 한국아메리카학회
- 저자명
- 정일준(Il Joon Chung)
- 간행물 정보
- 『미국학논집』제37집 3호, 66~92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12.01

국문 초록
영문 초록
During the Cold War, American intellectuals shared a conviction that the 3rd world would be transformed and set on a new and better historical course by the dissemination of modernization theory. In the context of American concern about the appeal of communism in the decolonizing and developing world, modernization theorists in the U. S., sought to counter Marxist-Leninist argument with their own model of historical development. American policy makers and intellectuals perceived the introduction of modernization theory to South Korea as an ideal tool for bringing about the reorientation of intellectuals and university students in South Korea. U. S. governmental bodies (USIS) and private foundations(Asia foundation, Ford foundation) joined together and disseminated modernization theory to South Korea. As a regime of truth about social change and progress, modernization theory predates the Cold War, and seems to have survived it as well.
목차
1. 미국의 시야에 포착된 대한민국 지식인: 미국의 근심과 관심
2. 미국 근대화론의 이론구조: 제3세계 사회발전의 개념지도
3. 근대화론의 한국전파: 학자와 관료
4. 한국지식인들과 근대화론의 수용 또는 변용: 두 차례의 심포지엄 비교 검토
5. 결론: 근대화론의 한국화인가 한국의 근대화인가
Abstract
2. 미국 근대화론의 이론구조: 제3세계 사회발전의 개념지도
3. 근대화론의 한국전파: 학자와 관료
4. 한국지식인들과 근대화론의 수용 또는 변용: 두 차례의 심포지엄 비교 검토
5. 결론: 근대화론의 한국화인가 한국의 근대화인가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