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Effect Of Management Education To Entrepreneurship Improvement
- 발행기관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 저자명
- 최종열(Choi Jong-Yeol) 정해주(Jeong Hae-Joo)
- 간행물 정보
- 『인적자원관리연구』제15권 제3호, 213~23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9.30

국문 초록
기업환경의 급변에 따른 불확실성의 증가로 기업의 생존은 더욱 어려워져 가고 있다. 이러한 기업환경을 극복하고 장기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기업의 규모, 형태, 기 설립 여부 등과 무관하게 창의성, 혁신성, 위험감수성을 포함하고 있는 기업가정신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대학교육은 개개인이 산업ㆍ정보사회에 부응하는 창의력과 직업인으로서의 자질을 갖출 수 있도록 지도ㆍ육성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특히 경영학은 기업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경영학의 이수를 통하여 기업이 지향하는 성과 달성에 기여할 것을 기대하고 있다.
본 연구는 경영교육이 최근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기업가정신 함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대학에서의 기업가정신 교육에 대한 방향 및 교육과정 개선에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① 경영학 교육은 기업가정신 영향요인 중 개념적 기능에만 유의적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② 개인 특성 중 부모의 직업이 기업가인 학생의 창의의지가 긍정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③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가정신 영향요인으로는 인간적 기능만이 유의성을 보이고 있다.
또한 기업가정신 교육에 대한 수요조사 결과 교육의 필요성에 대하여 76.2%이상이, 커리률럼에 있을 경우 수강의사는 55.3%가, 비정규과목이라도 수강하겠다가 47%, 교외에서 개설 시라도 42%가 약간 그렇다 이상의 적극적인 수강의사를 표하고 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혁신형 기업의 창업 및 기업 내 창의성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금의 경영관리 중심의 교과목에 추가하여 개인의 내적 통제, 위험감수성, 혁신성, 변화지향성 및 대인관계 향상, 동기부여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기업가정신 교과목의 개발과 교육의 강화가 시급히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대학교육은 개개인이 산업ㆍ정보사회에 부응하는 창의력과 직업인으로서의 자질을 갖출 수 있도록 지도ㆍ육성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특히 경영학은 기업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경영학의 이수를 통하여 기업이 지향하는 성과 달성에 기여할 것을 기대하고 있다.
본 연구는 경영교육이 최근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기업가정신 함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대학에서의 기업가정신 교육에 대한 방향 및 교육과정 개선에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① 경영학 교육은 기업가정신 영향요인 중 개념적 기능에만 유의적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② 개인 특성 중 부모의 직업이 기업가인 학생의 창의의지가 긍정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③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가정신 영향요인으로는 인간적 기능만이 유의성을 보이고 있다.
또한 기업가정신 교육에 대한 수요조사 결과 교육의 필요성에 대하여 76.2%이상이, 커리률럼에 있을 경우 수강의사는 55.3%가, 비정규과목이라도 수강하겠다가 47%, 교외에서 개설 시라도 42%가 약간 그렇다 이상의 적극적인 수강의사를 표하고 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혁신형 기업의 창업 및 기업 내 창의성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금의 경영관리 중심의 교과목에 추가하여 개인의 내적 통제, 위험감수성, 혁신성, 변화지향성 및 대인관계 향상, 동기부여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기업가정신 교과목의 개발과 교육의 강화가 시급히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Most policy makers of governments in market economies have been interested in building economy through growth of business. The Entrepreneurship has been one of their favorite targets to make a healthy and strong economy of nation.
The Entrepreneurship Improvement was effected education. so there has been considerably and increasingly interest for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Korea. But relative to such interest, Entrepreneurship education is still not sufficiently develop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1. To Identify whether Management Education is working as determinants to entrepreneurship improvement or not.
2. What Personal characteristics influence a person to have willingness of starting a business.
Empirical data was collected from 181 students (freshman 65, senior 116) in College of Business, PNU. It used the questionnaire method, It is executed the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Results of empirical study are as follow:
1.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nagement education and entrepreneurship improvement, there was a statistical correlation between the management education and Conceptional skill.
2.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al Character of entrepreneurship and the Willingness of starting a business, there was a statistical correlation between the Human skill and the Willingness of starting a business.
3.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s" occupation and the Willingness of starting a business, there was a statistical correlation.
In conclusion, the management education is still not sufficiently for the needs of entrepreneurship improvement. So it is necessity that the management education include the variety of entrepreneurship lecture rapidly.
The Entrepreneurship Improvement was effected education. so there has been considerably and increasingly interest for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Korea. But relative to such interest, Entrepreneurship education is still not sufficiently develop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1. To Identify whether Management Education is working as determinants to entrepreneurship improvement or not.
2. What Personal characteristics influence a person to have willingness of starting a business.
Empirical data was collected from 181 students (freshman 65, senior 116) in College of Business, PNU. It used the questionnaire method, It is executed the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Results of empirical study are as follow:
1.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nagement education and entrepreneurship improvement, there was a statistical correlation between the management education and Conceptional skill.
2.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al Character of entrepreneurship and the Willingness of starting a business, there was a statistical correlation between the Human skill and the Willingness of starting a business.
3.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s" occupation and the Willingness of starting a business, there was a statistical correlation.
In conclusion, the management education is still not sufficiently for the needs of entrepreneurship improvement. So it is necessity that the management education include the variety of entrepreneurship lecture rapidly.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설계
Ⅳ. 실증분석 및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설계
Ⅳ. 실증분석 및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