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Gender Role Identification On Job Attitudes And Subordinate"s Trust In Leader
- 발행기관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 저자명
- 임효창(Lim Hyo-Chang) 김호연(Kim Oh-Hyeon) 정무관(Jeong Mu-Goan)
- 간행물 정보
- 『인적자원관리연구』제15권 제3호, 151~17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9.30

국문 초록
리더십과 신뢰에 관한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주로 남성적인 리더십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여성적 리더십 혹은 리더십 성역할과 신뢰간 관계를 다룬 연구는 적은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성역할 정체감 및 변혁적 리더십이 리더에 대한 신뢰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변혁적 리더십은 리더에 대한 인지적 신뢰와 정서적 신뢰에 유의한 관계를 보였으며, 성역할 정체감의 하위 요인 중 남성성은 인지적 신뢰/정서적 신뢰와, 여성성은 정서적 신뢰와 유의한 관계를 확인하였다. 또한 인지적 신뢰는 구성원의 이직의도와 부(-)의 관계를, 정서적 신뢰는 직무만족과 조직시민행동과 정(+)의 관계가 있음을 보였다. 그리고 신뢰의 매개효과 또한 부분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의 해석과 함께 연구의 한계점을 논문 마지막 부분에서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provides a better understanding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and trust, but it has not been enough to understand relationship between gender role identification(or women leadership) and tru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gender role identification on subordinate"s trust in leader. Results showed tha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proved to be strongly significant and positively related to both (cognition and affect-based) trust, masculinity positively related to both trust, and femininity positively related to affect-based trust. And cognition-based trust negatively related to turnover intention, affect-based trust positively related to both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cases of mediating effects of subordinate"s trust in leader, this study provides partial relationships.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배경 및 가설설정
Ⅲ. 연구방법
Ⅳ. 가설 검증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배경 및 가설설정
Ⅲ. 연구방법
Ⅳ. 가설 검증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