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Stages of Concern about and the Actual State of Practicing Visual Literacy Education among Middle School Art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박소연(Park So-Youn) 노용(Row Yong)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美術敎育論叢 第22券 2號, 129~171쪽, 전체 43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8.30

국문 초록
시각문화교육의 시대에 있어 비주얼 리터러시 교육이 부각되는 현 시점에서 실제 현직 미술교사가 비주얼 리터러시 교육을 어느 정도의 수준에서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어떻게 실천하고 있는가를 실증적으로 밝힘으로써 교육에 대한 지원방안을 도출한다. 연구 결과, 비주얼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미술교사들의 전반적인 관심도는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고, 실행수준과 실행형태는 비교적 수용할 만한 수준에 근접하거나 바람직한 수준에 다소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술교사가 비주얼 리터러시 교육에 대해 가지고 있는 관심도, 실행수준, 실행형태 간에는 서로 유의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육의 필요성에 따른 변화나 개선에 참여하고 개인 또는 집단에 부응하는 구체적인 지원책들을 제공하는 변화지원자는, 비주얼 리터러시 교육을 제대로 실행하도록 하기 위해서 이 세 가지 측면을 모두 고려하여 교사들에게 꼭 필요하고 적절한 변화지원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As to specific research contents, it diagnoses the present situation by taking a look at stages of concern over, levels of use of, and the innovative configuration of visual literacy education among actual art teachers based on the concerns-based adoption model(CBAM). Putting the results together, it was revealed that overall stages of concern over visual literacy education remain low, and levels of use and the innovation configuration were closer to the acceptable level or more or less did not approach the desirable level. In addition, there showed the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stages of concern over, levels of use of, and the innovation configuration of visual literacy education among art teachers. Accordingly, supporters for change who are in charge of providing specific aid proper for individuals or groups should provide teachers with necessary and suitable support for change by taking those three aspects into consideration in order to implement visual literacy education programs appropriately.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및 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부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및 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부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