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Non-Market Benefits of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 저자명
- 김지하(Ji-Ha Kim) 백일우(Il-Woo Paik)
- 간행물 정보
- 『교육재정경제연구』 제17권 제1호, 149~178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6.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이 가져오는 비금전적(non-monetary) 수익을 외국의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소개하고, 경험자료를 통해 실증분석함으로써 이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노동패널(KLIPS) 7차년도 부가자료인 "근로시간과 여가"를 사용하여 프로빗, 순위 프로빗, 음이항, ZINB 등 다양한 회귀모형에 근거하여 비금전적 수익을 추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년수 증가 및 학교급 향상은 생활만족도, 건강인식도, 독서량으로 측정된 사적ㆍ비금전적 수익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년수 증가 및 학교급 향상은 사회적ㆍ비금전적 수익(지역사회 봉사참여여부, 시민의식 수준의 대리변수인 일간지 구독여부 및 월간 구독 횟수)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교육의 사적ㆍ사회적 비금전적 수익이 경험적으로도 측정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며 나아가 정확한 교육의 수익률 추정을 위해 고려되어야 할 비금전적 수익 측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실증분석결과에 근거한 고등교육의 사회적 수익, 즉 확산효과의 존재는 정부의 고등교육 지원 및 투자 확대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년수 증가 및 학교급 향상은 생활만족도, 건강인식도, 독서량으로 측정된 사적ㆍ비금전적 수익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년수 증가 및 학교급 향상은 사회적ㆍ비금전적 수익(지역사회 봉사참여여부, 시민의식 수준의 대리변수인 일간지 구독여부 및 월간 구독 횟수)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교육의 사적ㆍ사회적 비금전적 수익이 경험적으로도 측정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며 나아가 정확한 교육의 수익률 추정을 위해 고려되어야 할 비금전적 수익 측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실증분석결과에 근거한 고등교육의 사회적 수익, 즉 확산효과의 존재는 정부의 고등교육 지원 및 투자 확대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designed to review the prior researches which were focused on the non-market outcomes of education and empirically analyze the non-monetary benefits of education through the KLIPS data which include the additional data for the leisure and time allocations in the 7th Wave. To take into account of the characteristics of dependent variables, this study employed a few regression models such as, Probit, Ordered Probit, Negative Binominal ZINB models. The finding was that education level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non-market private benefits like "overall satisfaction with life", "self-perception of health", and "time allocation for readings". In addition, the education was positively related with the non-monetary social benefits measured by "volunteerism" and "frequency of newspaper readership" after controlling the age, household"s income, gender, status of employment, and marital status. The results showed the strong evidences of the non-monetary outcomes of education and implied the estimated values of non-market outcomes from additional years of schooling would be substantial. These results will provide a valid ground for continuous governmental support for the education.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