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학교 읽기 통합수업에서 PBL 기반의 정착적 교수법이 읽기 학습장애 및 일반 학생의 학업성취도와 교수 - 학습 활동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678
- 영문명
- The Effect of Project-Based Anchored Instruction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Classroom Activities of Students With and Without Learning Disabilities Placed in Inclusive Middle School Reading Class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허유성(Heo Yusung)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43권 제1호, 145~16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6.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통합교실에서 읽기 학습장애를 가진 학생을 위해 활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전략의 하나로 프로젝트 기반(PBL)의 정착적 교수법(anchored instruction)을 제안하고 그 효과를 탐구하였다. 또한, 소그룹 활동이 강조된 정착적 교수법을 활용하면 읽기 수업의 교수-학습 활동이 어떻게 변하는지, 교사와 학습장애를 가진 학생 간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탐구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중학교 읽기 수업 교사 2명과 학생 141명이 참가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PBL 기반의 정착적 교수법이 교사 중심의 교수법과 비교했을 때, 원기 과제에 대한 학업성취도가 높았고 읽기 유창성은 두 집단 간 차이가 없었다. 특히, 정착적 교수법이 소설의 주제와 등장인물을 분석하는 고차적인 사고가 필요한 영역에서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교사와 읽기 학습장애를 가진 학생 간의 상호작용이 증가하고, 읽기 수업의 교수-학습 활동유형과 시간에 큰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roject-based anchored instruction in reading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classroom activities of students with and without learning disabilities (LD) enrolled in a seventh-grade general education classroom setting. Two teachers and 80 randomly selected students including 28 students with LD participated in the study. A quasi-experimental comparison-group design was utilized, experimental classes received the anchored instruction, and comparison classes received non-anchored instruction. Measures included a curriculum-based achievement test and TOSCRF.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students in PBL-based anchored instruction statistically outperformed students in non-anchored instruction on the curriculum-based academic achievement test. It is an important finding because it supports the notion that integrating complex PBL-based constructivist approaches with technology can be the effective way of enhancing students with and without LD"s understanding of the novel.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on the reading fluency demonstrated that student-lead learning produced similar academic outcomes than those of teacher-lead classes.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PBL-based anchored instruction changed the classroom activities significantly and increased the frequency of interaction between a teacher and students with LD.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