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Exploratory Study on Variables of Writing Ability for Identifying Low Achievers in Written Expression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김동일(Kim dong-il) 홍성두(Hong sung doo) 구연정(Gu yeonjung)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43권 제1호, 109~12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6.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들의 쓰기 저성취 진단을 위한 쓰기 능력 변인 탐색 연구이다. 연구 수행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특별시에 소재하는 3개 초등학교의 총 374명(1~3학년)을 대상으로 하여 이야기 서두제시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의 채점은 정량적 평가(쓰기 유창성)와 정성적 평가(쓰기 평정)의 두 가지 방법에 의해 이루어졌고, 쓰기 평정과 쓰기 유창성 결과를 기준으로 두 가지 결과 모두에서 학년별 하위 10%에 해당하는 학생을 쓰기 저성취로 설정하였다. 쓰기 저성취로 설정된 학생들을 대상으로 쓰기 평정의 평가지표인 형식, 조직, 문체, 표현, 내용, 주제에 대한 ROC(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s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활용된 이야기 서두 제시 검사의 정성적 평가 준거 중 내용이 쓰기 저성취를 진단하는 데에 가장 효과적인 준거인 것으로 나타났다. 내용은 다른 쓰기능력 평가지표인 형식, 조직, 문체, 주제에 비해 민감도에서는 약간 낮지만, 1-특이도에서 월등히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ndicators of writing ability for identifying low achievers in written expression. Participates in the study were 374 students (1~3 grade) of elementary school in Seoul. Quantitative assessment and qualitative assessment were administerd for establishing the criteria of low achievement. In the results, low achievement criteria was determined at 10 percentile of both instruments. Frequency and ROC(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s analysis were applied to find core variables of writing ability. Considering sensitivity and 1-specificity, "content" was the best indicator, rather than other variables (form, structure, style, subject).
목차
〈요약〉
Ⅰ.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및 연구 절차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Ⅰ.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및 연구 절차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