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 of Combined Exercise on Visceral Fat, Serum Lipid, LPL and Immune Function in Elderly Obese Women
- 발행기관
- 동아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
- 저자명
- 문수만(Moon Su-Man) 신중달(Sin Jung-Dal)
- 간행물 정보
- 『스포츠과학연구논문집』제25집, 39~51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체육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12.0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12주간의 복합운동을 실시하여 중ㆍ고령 비만 여성의 내장지방, 혈청지질ㆍ지단백, 아포단백 및 LPL(lipoprotein lipase)과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체지방률이 35%이상인 비만여성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1회 60분, 주 4회, 12주간 복합운동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복합 운동군이 12주 후 복부 총지방량, 내장지방량, 내장/피하지방량이 각각 유의하게(p<.05) 감소하여 비만이 개선되었고,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아포지단백 B 가 각각 유의하게(p<.01, p<.05, p<.05, p<.01) 감소하였으며,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아포지단백 A-I, LPL이 각각 유의하게(p<.05, p<.001, p<.01) 증가하여 혈청지질ㆍ지단백 및 아포단백과 LPL이 개선되었다. 또한 복합운동군은 12 주 후 T세포, T보조, T보조/T억제, NK세포가 각각 유의하게(p<.05, p<.05, p<.05, p<.01) 증가하여 면역기능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중ㆍ고령여성에 있어서 복부 비만, 혈청지질ㆍ지단백과 아포단백, LPL 및 면역 기능의 개선은 고령에 의한 비만, 지질대사 이상과 면역기능의 감소에 의한 질병의 이환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하지만 고령화에 대한 예방적 차원에서 비만 중ㆍ고령 여성들에 있어서 규칙적인 운동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구 대상은 체지방률이 35%이상인 비만여성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1회 60분, 주 4회, 12주간 복합운동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복합 운동군이 12주 후 복부 총지방량, 내장지방량, 내장/피하지방량이 각각 유의하게(p<.05) 감소하여 비만이 개선되었고,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아포지단백 B 가 각각 유의하게(p<.01, p<.05, p<.05, p<.01) 감소하였으며,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아포지단백 A-I, LPL이 각각 유의하게(p<.05, p<.001, p<.01) 증가하여 혈청지질ㆍ지단백 및 아포단백과 LPL이 개선되었다. 또한 복합운동군은 12 주 후 T세포, T보조, T보조/T억제, NK세포가 각각 유의하게(p<.05, p<.05, p<.05, p<.01) 증가하여 면역기능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중ㆍ고령여성에 있어서 복부 비만, 혈청지질ㆍ지단백과 아포단백, LPL 및 면역 기능의 개선은 고령에 의한 비만, 지질대사 이상과 면역기능의 감소에 의한 질병의 이환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하지만 고령화에 대한 예방적 차원에서 비만 중ㆍ고령 여성들에 있어서 규칙적인 운동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regular combined exercise for the visceral fat, serum lipidㆍlipoprotein, lipoprotein lipase and immune function in elderly obese women. women whose with % body fat was over 35%.
The combined exercise training performed that the resistance training was composed of 65% of 1RM during first 6 weeks (15 repetitions per set, 3set), 75% of 1RM during 12weeks (12 repetitions per set, 3set), 60minutes a day for 4 day a week and the aerobic exercise was composed of 50%HRR during first 6 weeks, 70%HRR during 12weeks, 30minutes a day for 4 day a week. Total fat(TF), visceral fat(VF), visceral to subcutaneous fat ratio(V/S), total cholesterol(TC), triglyceride(TG),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LDL-C) and Apolipoprotein B were significantly decreased(p<.05, p<.05, p<.05, p<.01, p<.05, p<.05, p<.01) whereas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HDL-C), apolipoprotein A-I, LPL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combined exercise training group(p<.05, p<.001, p<.01). Also, the T-cell, T-helper cell, T-helper/T-suppressor and NKcell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combined exercise training group.
In conclusion, we could find that the combined exercise training could improve the abdominal fat, serum lipidㆍlipoprotein, LPL and immune function in elderly obese women.
The combined exercise training performed that the resistance training was composed of 65% of 1RM during first 6 weeks (15 repetitions per set, 3set), 75% of 1RM during 12weeks (12 repetitions per set, 3set), 60minutes a day for 4 day a week and the aerobic exercise was composed of 50%HRR during first 6 weeks, 70%HRR during 12weeks, 30minutes a day for 4 day a week. Total fat(TF), visceral fat(VF), visceral to subcutaneous fat ratio(V/S), total cholesterol(TC), triglyceride(TG),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LDL-C) and Apolipoprotein B were significantly decreased(p<.05, p<.05, p<.05, p<.01, p<.05, p<.05, p<.01) whereas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HDL-C), apolipoprotein A-I, LPL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combined exercise training group(p<.05, p<.001, p<.01). Also, the T-cell, T-helper cell, T-helper/T-suppressor and NKcell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combined exercise training group.
In conclusion, we could find that the combined exercise training could improve the abdominal fat, serum lipidㆍlipoprotein, LPL and immune function in elderly obese women.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