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Comparative Study on National Curriculum in Kindergarten and child care centers
- 발행기관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 저자명
- 이석순(Lee Seok-Soon)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韓國幼兒敎育·保育行政硏究 제11권 제4호, 183~20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12.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현재 실시되고 있는 국가수준의 유치원 교육과정과 표준보육과정의 전반적인 구성체계와 내용을 중심으로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분석하였다.
우리나라 유아교육과 보육사업은 같은 영유아를 대상으로 교육함에도 불구하고 시대 변화와 사회적 요구에 따라 많은 변화가 있었다. 유아교육과 보육은 관련법령과 주관부처가 다름으로 인해 이원화체제를 유지하면서 각기 다른 국가수준의 교육과정과 보육과정을 적용하여 현장에서 운영되고 있다.
연구 결과 유치원 교육과정과 보육과정은 관련법과 행정조직이 다르나 편성운영체제는 비슷하게 구성되었으며, 교육/보육과정의 성격, 추구하는 인간상, 목적과 목표에서도 용어의 표현상 차이는 약간 있으나 매우 유사하게 기술되었다. 또한 영역 및 내용의 구성은 교육과정은 만 3-5세를 대상으로 5개 생활영역과 Ⅰ, Ⅱ, 공통수준으로 구분하였다. 표준보육과정은 6개영역과 만 2세 미만, 만 2세, 만 3~5세로 나누었으며, 내용별 수준을 연령에 따라 1ㆍ2ㆍ3 수준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교수학습방법, 평가의 측면에서도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대체로 비슷하였다. 이를 토대로 유아교육과 보육의 차이를 이해할 수 있으며, 향후 유아교육과정과 보육과정의 통합을 위한 여러 방안을 논의하였으며, 바람직한 유아교육과정과 보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 유아교육과 보육사업은 같은 영유아를 대상으로 교육함에도 불구하고 시대 변화와 사회적 요구에 따라 많은 변화가 있었다. 유아교육과 보육은 관련법령과 주관부처가 다름으로 인해 이원화체제를 유지하면서 각기 다른 국가수준의 교육과정과 보육과정을 적용하여 현장에서 운영되고 있다.
연구 결과 유치원 교육과정과 보육과정은 관련법과 행정조직이 다르나 편성운영체제는 비슷하게 구성되었으며, 교육/보육과정의 성격, 추구하는 인간상, 목적과 목표에서도 용어의 표현상 차이는 약간 있으나 매우 유사하게 기술되었다. 또한 영역 및 내용의 구성은 교육과정은 만 3-5세를 대상으로 5개 생활영역과 Ⅰ, Ⅱ, 공통수준으로 구분하였다. 표준보육과정은 6개영역과 만 2세 미만, 만 2세, 만 3~5세로 나누었으며, 내용별 수준을 연령에 따라 1ㆍ2ㆍ3 수준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교수학습방법, 평가의 측면에서도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대체로 비슷하였다. 이를 토대로 유아교육과 보육의 차이를 이해할 수 있으며, 향후 유아교육과정과 보육과정의 통합을 위한 여러 방안을 논의하였으며, 바람직한 유아교육과정과 보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compare the laws,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methods of implementation, goals and objects, areas and contents, teaching methods and assessments of national curriculum in kindergarten and childcare cente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national curriculum in kindergarten and childcare centers is no significant differences. The organizations and methods of implementing the curriculums are based on national education ideologies and philosophy, guidelines of practical implementation and laws. Although titles and classifications are somewhat different, the contents are divided 5 or 6 different areas, which are based on developments, experiences, and knowledges of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for children. The contents in areas divide in ages and levels of developments.
In conclusion, this study offers som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ystem and curriculum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national curriculum in kindergarten and childcare centers is no significant differences. The organizations and methods of implementing the curriculums are based on national education ideologies and philosophy, guidelines of practical implementation and laws. Although titles and classifications are somewhat different, the contents are divided 5 or 6 different areas, which are based on developments, experiences, and knowledges of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for children. The contents in areas divide in ages and levels of developments.
In conclusion, this study offers som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ystem and curriculum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본론
Ⅲ. 맺는 글
참고문헌
ABSTRACT
Ⅰ. 서론
Ⅱ. 본론
Ⅲ. 맺는 글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