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Health Knowledge and Health Practice
- 발행기관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 저자명
- 노진형(Roh Jin Hyung) 이정희(Lee Jung Hee)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韓國幼兒敎育·保育行政硏究 제12권 제1호, 29~4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3.30
국문 초록
본본 연구는 유아교사를 위한 교육 과정을 구성하고 실행하는데 시사점을 주고, 유아를 지도하는 예비유아교사들에게 올바른 건강교육이 실시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예비유아교사들의 건강지식의 정도와 행위를 알아보고 그 관계를 파악해보는 것이다. P시와 C시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197명을 대상으로 연구자가 윤현희(2004)의 도구를 본 연구자가 수정ㆍ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처리는 SPSS 12.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조사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건강지식은 20점 만점에 14.21점이었으며, 학력, 건강상태에 대한 자각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즉 3년제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일수록, 자신이 건강하지 않은 편이라고 인식할수록 건강지식 점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들의 건강행위는 4점 만점에 3.19점이었으며, 건강에 대해 관심이 많을수록, 자신이 건강하다고 생각할수록 높게 나타났다. 셋째, 건강지식 점수 수준에 따라 건강행위를 알아본 결과 건강지식 점수 수준이 높을수록 건강행위를 더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ncentrates on ascertaini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health knowledge and health practice. Questions asked in this study are:What kind of knowledge do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have about health? What ar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form health practice? And Do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health knowledge affect health practice? Subjects were 197 in P, C city. They were asked to answer a questionnaire. In processing the collection data, the SPSS 12.0 statistics program were used.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ean score for health knowledge were 14.21. Those who were in junior college and with negative recognition on self health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Secon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ean score for health practice were 3.19, and those who were positive recognition on self health and higher concern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ir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knowledge of health and health practice; those who had higher marks in health knowledge showed higher scores in health practice.
Firs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ean score for health knowledge were 14.21. Those who were in junior college and with negative recognition on self health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Secon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ean score for health practice were 3.19, and those who were positive recognition on self health and higher concern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ir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knowledge of health and health practice; those who had higher marks in health knowledge showed higher scores in health practice.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