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Fathers" Childcare Attitudes & Linguistic Patterns and Development of Pre-school Children"s Sociability
- 발행기관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 저자명
- 홍길회(Hong Kil-Hoe) 정미자(Jung Mi Ja)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韓國幼兒敎育·保育行政硏究 제12권 제2호, 237~26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6.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아버지의 양육태도 및 언어형태와 아버지와 유아의 변인에 따라 유아의 사회성 발달과의 관계를 알아보았는데, 그 결과 첫째, 유아의 사회성은 유아의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였고, 유아의 연령이 높을수록 사회성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아버지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유아의 사회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체로 애정적 양육태도가 가장 높았으며, 개성지향적 언어 형태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양육태도와 언어 형태는 관계가 있었다. 넷째, 아버지의 애정적 양육태도, 자율적 양육태도의 성향이 증가할수록 유아의 전체적인 사회성도 증가하였다. 다섯째, 아버지의 언어형태 중에는 지위지향형 언어형태의 경향이 높아질수록 유아의 근면성과 사교성이 높으며, 개성지향형 언어 형태가 높아지면 근면성은 낮아졌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of fathers" childcare attitudes and linguistic patterns and their younger children"s development of sociability depending on two groups"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re-school children"s sociability differed depending on gender. Second, pre-school children"s sociability differed depending on their fathers" demographic variables. Third, fathers" most frequent attitude of childcare was affectionate attitude, followed by autonomous, controlling and disapproving attitudes in their order. Fourth, fathers" affectionate and autonomous childcare attitudes were positively correlaed with their younger children"s development of sociability. Fifth, the more status-oriented the fathers" linguistic patterns were, their younger children were more diligent and sociable, while the more personality-oriented the fathers" linguistic patterns were, their younger children were less diligent.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