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f Confluent Approach Creative Program Solving Instructional Model Based on the Story-Telling Activity expending creative imagination
- 발행기관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 저자명
- 이윤옥(Lee Yeun Ok)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韓國幼兒敎育·保育行政硏究 제12권 제2호, 215~23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6.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의 시각적 심상능력의 활성화를 통한 창의적인 문제해결력을 증진시킬 목적하에 동화를 활용한 주제접근의 창의성 수업모형을 구안하였다. 본 수업모형은 창의적인 과정에서의 지식과 심상적 사고와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고오든이 제안한 창의성 수업모형에 관한 이론적 근거를 토대로 하여 창의적 문제해결 교수전략을 구안하였다. 본 연구는 유아가 흥미 있어 하는 동화속에 등장하는 다양한 주제의 이미지화된 시각적 장면을 활용하여 창의성을 증진시키는 새로운 교수법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클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are to build up a model of the Creative Program Solving Instruction based on the Gordon synectics and the Story-Telling Activity Involving Creative Thinking Process for the expending creative imagination.
The confluent creativity was conceptualized as an active process of producing new solutions to problems. In the theoretical review, the comprehensive conceptual model of creativity built up. three components of creativity in the model were 3 subvariables: critical domain-specific knowledge, ability of problem solving, creativity-relevant imaginary thinking. The programs to foster creativity developed on the basis of a model of the Creative Program Solving Instruction based on the Gordon synectics and the Story-Telling Activity will grow as young children increase the experience of creative problem solving.
The confluent creativity was conceptualized as an active process of producing new solutions to problems. In the theoretical review, the comprehensive conceptual model of creativity built up. three components of creativity in the model were 3 subvariables: critical domain-specific knowledge, ability of problem solving, creativity-relevant imaginary thinking. The programs to foster creativity developed on the basis of a model of the Creative Program Solving Instruction based on the Gordon synectics and the Story-Telling Activity will grow as young children increase the experience of creative problem solving.
목차
《요약》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모형 구성의 이론적 근거
Ⅲ.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모형 구성 체계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모형 구성의 이론적 근거
Ⅲ.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모형 구성 체계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