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Health Perception, Health Promoting Lifestyl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Child Care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 저자명
- 이채호(Lee Chae Ho) 고태순(Kho Tae Soon)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韓國幼兒敎育·保育行政硏究 제12권 제2호, 23~4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6.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경기도의 보육시설에 재직하고 있는 196명의 보육교사들을 대상으로 보육교사들의 심리적 안녕감과 건강지각 및 건강증진 생활양식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수집된 자료를 기술통계, t 검증, 일원변량분석, Tukey 사후 검증, Pearson 상관계수, 중다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보육교사들의 배경변인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과 건강지각 및 건강증진 생활양식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들의 심리적 안녕감과 건강지각은 유의한 상관이 있었으며, 중다회귀분석 결과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 요인 중 자아수용이 건강지각의 유의한 설명요인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들의 심리적 안녕감과 건강증진 생활양식 또한 유의한 상관이 있었으며, 중다회귀분석결과 자아수용이 건강증진 생활양식의 유의한 설명요인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ealth perception, health promoting lifestyl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child care teachers. Participants were 195 child care teachers in Gyeonggi-do.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analysis, t-test, ANOVA, Tukey HSD,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well-being, health perception and health promoting lifestyle on child care teacher"s background. Second, The psychological well-being correlated with health perception. A stepwise regression revealed that self-acceptance was the significant factor to explain the health perception. Third, The psychological well-being correlated with health promoting lifestyle. A stepwise regression revealed that self-acceptance was the significant factor to explain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well-being, health perception and health promoting lifestyle on child care teacher"s background. Second, The psychological well-being correlated with health perception. A stepwise regression revealed that self-acceptance was the significant factor to explain the health perception. Third, The psychological well-being correlated with health promoting lifestyle. A stepwise regression revealed that self-acceptance was the significant factor to explain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