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f Knowledge Base and Pedagogical Approaches in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 저자명
- 김낙흥(Kim Nak-Heung)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韓國幼兒敎育·保育行政硏究 제12권 제1호, 215~24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3.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미국의 교사교육 프로그램에서 예비교사를 위해 제공되고 있는 다문화 교육에 대한 문헌고찰을 통해 다양한 사회문화적 배경을 갖고 있는 아동을 교육하기 위해 교사교육 프로그램이 예비교사에게 제공해야 할 지식적 기반은 무엇인지 알아보고 지식이나 기술의 제공과 더불어 예비교사의 사회문화적 인식의 전환을 돕기 위해 교사교육 프로그램이 고려해야 할 교수방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고찰을 바탕으로 다문화 교육의 필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한국 현실에서 교사교육 프로그램이 적용할 수 있는 방안들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는 아동의 다양한 사회문화적 배경과 역사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바탕으로 아동의 사회문화에 적합한 교육을 제공할 수 있고, 아동이 갖고 있는 다른 문화에 대해 편견이나 선입관을 바꿀 수 있는 교육환경을 조성할 수 있으며, 아동으로 하여금 사회문화적 배경과 상관없이 평등한 사회를 건설하기 위한 사회 변화의 주체로 성장하도록 자극할 수 있는 지식과 기술을 갖추어야 한다. 또한 예비교사는 교사교육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다양한 경험들, 즉 문화적 자서전 쓰기, 다문화적 주제로 토론하기, 지역사회 경험하기, 문화에 적합한 교수법 계획하기 등을 통해 자신의 태도나 신념을 성찰하고 사회문화적 인식과 통찰력을 형성하며 현장실습을 통해 자신이 배운 이론과 실제를 연계할 수 있는 경험과 자질을 갖추어야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알게 된 예비교사에게 필요한 다문화 교육을 위한 지식 기반과 예비교사의 인식 전환을 위한 교수방안은 앞으로 예비교사를 위한 다문화 교육을 준비하는 한국의 교사교육 프로그램에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는 아동의 다양한 사회문화적 배경과 역사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바탕으로 아동의 사회문화에 적합한 교육을 제공할 수 있고, 아동이 갖고 있는 다른 문화에 대해 편견이나 선입관을 바꿀 수 있는 교육환경을 조성할 수 있으며, 아동으로 하여금 사회문화적 배경과 상관없이 평등한 사회를 건설하기 위한 사회 변화의 주체로 성장하도록 자극할 수 있는 지식과 기술을 갖추어야 한다. 또한 예비교사는 교사교육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다양한 경험들, 즉 문화적 자서전 쓰기, 다문화적 주제로 토론하기, 지역사회 경험하기, 문화에 적합한 교수법 계획하기 등을 통해 자신의 태도나 신념을 성찰하고 사회문화적 인식과 통찰력을 형성하며 현장실습을 통해 자신이 배운 이론과 실제를 연계할 수 있는 경험과 자질을 갖추어야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알게 된 예비교사에게 필요한 다문화 교육을 위한 지식 기반과 예비교사의 인식 전환을 위한 교수방안은 앞으로 예비교사를 위한 다문화 교육을 준비하는 한국의 교사교육 프로그램에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knowledge base that preservice teachers should know to work with children who have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from their own, and the effective pedagogical approaches that teacher education programs should consider in order for preservice teachers to change their stereotypes and prejudice and improve their awareness of children’s cultural diversity. This study reviewed and analyzed the literature about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in U.S. Based on the review of the literature, the suggestions were offered for the implementation of Korean teacher education program.
According to the findings, preservice teachers need to possess the knowledge and skills to develop culturally relevant curriculum, to provide an environment that children can change their prejudice and stereotype, to promote children to be a social agent who can transform social inequality. Also preservice teachers need to have learning opportunities to improve cultural awareness and insights of children’s diverse backgrounds, to have critical reflection of their prejudice and stereotype, and to bridge theory and practic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rough diverse pedagogical approaches such as cultural awareness, multicultural topic discussion, community field experiences, and culturally relevant lesson plans.
The findings provide applicable examples and ideas for Korea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s that need to prepare propective teachers to have multicultural competencies.
According to the findings, preservice teachers need to possess the knowledge and skills to develop culturally relevant curriculum, to provide an environment that children can change their prejudice and stereotype, to promote children to be a social agent who can transform social inequality. Also preservice teachers need to have learning opportunities to improve cultural awareness and insights of children’s diverse backgrounds, to have critical reflection of their prejudice and stereotype, and to bridge theory and practic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rough diverse pedagogical approaches such as cultural awareness, multicultural topic discussion, community field experiences, and culturally relevant lesson plans.
The findings provide applicable examples and ideas for Korea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s that need to prepare propective teachers to have multicultural competencie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다문화 교육을 위한 지식적 기반
Ⅲ. 예비교사의 다문화 교육을 위한 교수방안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Ⅰ. 서론
Ⅱ. 다문화 교육을 위한 지식적 기반
Ⅲ. 예비교사의 다문화 교육을 위한 교수방안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