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actions of the Capital Market to Different Policies of Reporting the Negative Goodwill
- 발행기관
- 한국산업경영학회
- 저자명
- 김영화(Young Hwa Kim) 이중희(Joong Hee Lee)
- 간행물 정보
- 『경영연구』 第23卷 第2號, 1~2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5.30

국문 초록
2005년에 의결된 ‘기업회계기준서 공개초안 제05-27.1호 사업결합’에서는 부의영업권을 발생 즉시 당기이익에 반영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1986년 제정된 합병준칙에서는 자본잉여금으로, 1999년에 제정된 현행준칙에서는 자산의 차감항목으로 보고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부의 영업권에 대한 회계처리방법의 변경에 따라 제공되는 회계정보 중에서 어떤 것이 더 유용한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해 볼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04년까지 유가증권본부에 상장된 제조기업 중 부의영업권을 계상한 기업을 표본으로 선정하고 Ohlson(1995)모형을 이용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별재무제표에 계상된 부의영업권은 주가와 양(+)의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연결재무제표에 계상된 부의영업권은 주가와 유의한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의영업권을 발생 즉시 이익으로 인식하는 것이 자산의 차감항목으로 보고하는 것보다 더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의영업권에 대한 회계처리방법을 달리 적용한 회계정보와 주가의 관련성에 관한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사업결합에 관한 기업회계기준서 공개초안의 타당성을 뒷받침해 준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04년까지 유가증권본부에 상장된 제조기업 중 부의영업권을 계상한 기업을 표본으로 선정하고 Ohlson(1995)모형을 이용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별재무제표에 계상된 부의영업권은 주가와 양(+)의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연결재무제표에 계상된 부의영업권은 주가와 유의한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의영업권을 발생 즉시 이익으로 인식하는 것이 자산의 차감항목으로 보고하는 것보다 더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의영업권에 대한 회계처리방법을 달리 적용한 회계정보와 주가의 관련성에 관한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사업결합에 관한 기업회계기준서 공개초안의 타당성을 뒷받침해 준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certai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market value of stocks and different policies of reporting the negative goodwill, i.e., the fair value of net assets in excess of the amounts paid. Sample firms include manufacturing firms, listed on the Korea Stock Market for the period of 2000 though 2004, which showed the negative goodwill on their financial statements. Data from these firms were analyzed based on the model suggested by Ohlson(1995).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exist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negative goodwill shown on the financial statements and the market value of stocks. It means that the market translates the subtractions from assets on the financial statements into the gains from a better deal. That is, the market recognizes the meaning of negative goodwill as the new rules suggest.
What should be noted is that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negative goodwill shown on the consolidated financial statements and the market value of stocks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implies that the market does not have much trust in the valuation of the negative goodwill shown on the consolidated financial statements, not like the individual financial statements.
Second, the policy of reporting the negative goodwill as a part of periodic revenues as it occurs is proved to be more useful than the policy of reporting it as a subtraction from assets. In other words, the market approves the valuation of net assets obtained at their fair market value and, at least, the individual financial statements reporting the negative goodwill as a part of periodic revenues resulting from a merger.
First, there exist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negative goodwill shown on the financial statements and the market value of stocks. It means that the market translates the subtractions from assets on the financial statements into the gains from a better deal. That is, the market recognizes the meaning of negative goodwill as the new rules suggest.
What should be noted is that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negative goodwill shown on the consolidated financial statements and the market value of stocks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implies that the market does not have much trust in the valuation of the negative goodwill shown on the consolidated financial statements, not like the individual financial statements.
Second, the policy of reporting the negative goodwill as a part of periodic revenues as it occurs is proved to be more useful than the policy of reporting it as a subtraction from assets. In other words, the market approves the valuation of net assets obtained at their fair market value and, at least, the individual financial statements reporting the negative goodwill as a part of periodic revenues resulting from a merger.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배경과 선행연구의 검토
Ⅲ. 연구의 설계
Ⅳ. 실증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배경과 선행연구의 검토
Ⅲ. 연구의 설계
Ⅳ. 실증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