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a rehabilitation program improving empathy for adolescent sex offender
- 발행기관
- 한국범죄심리학회
- 저자명
- 구현아(Koo Hyun Ah) 이수정(Lee Soo Jung)
- 간행물 정보
- 『한국범죄심리연구』창간호, 65~8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12.01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S보호관찰소에 수강명령을 받은 청소년 성폭력 가해자를 중심으로 재범방지와 자신감 회복에 초점을 두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려고 하였다. 프로그램 참가자들은 10명의 보호관찰대상 청소년이었다. 12회기에 걸친 프로그램 진행 결과, 공감력이 향상되었던 반면 강간통념은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의 보호관찰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들에서는 통제집단이 설정되지 않았으나 이 연구에서는 유사 죄명의 통제집단이 설정되어 었기에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비교적 효과적으로 측정해 볼 수 있었다. 하지만 사례 수가 극히 제한적이었기에 결과의 해석 상에 있어서는 신중을 기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Due to the Adolescents Protection Laws, adolescents punishments for crimes were reduced. Now a days guidance for adolescent offenders is very needed. This study was for making programs for adolescent sex offenders and finding out the effects. The probation program was executed for 6 weeks twice a week. This program was divided into 5 stages. confrontation stage, understanding me stage, my expression stage, extension for planning ability stage, assessment stag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programed adolescents" rape myth scores were lower than nonprogramed adolescents". 2) programed adolescents" sympathy scores were higher than nonprogramed adolescents".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