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Buddhistic Practice: Samatha and Vipassanā, Sati-paṭṭhāna and Jhāna-samādhi
- 발행기관
- 불교학연구회
- 저자명
- 한자경(Han Jakyoung)
- 간행물 정보
- 『불교학연구』제19호, 81~117쪽, 전체 3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불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4.30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s to clarify the concepts of Buddhistic practice, samatha, vipassan?, sam?dhi, sati, jh?na-sam?dhi, sati-pa??h?na, and systemize them in a single practical system. For the purpose, this paper includes the critical investigation into the hot debate on the Buddhistic practice in Korea after 2000. On that ground, the distinction between the two kinds of concepts about practice is suggested: the concept of form (method) of practice, and the concept of matter (content) of practice. It is demonstrated in the study that samatha and vipassan? belong to the former kind (method-concept) and sati-pa??h?na and jh?na-sam?dhi belong to the latter (content-concept). As a further investigation, explanation of the four steps of sati-pa??h?na is given on one hand and four steps of jh?na and four steps of sam?dhi and one last step of extinguished sam?dhi is provided on the other. In conclusion, this study tries to show how sati-pa??h?na and jh?na-sam?dhi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organize them in one system. Finally, this paper closes in contemplation of the meaning of the systemized theory of Buddistic practice.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수행론에 관한 기존의 논의
Ⅲ. 개념의 명료화: 수행 방법상의 개념(지ㆍ관)과 수행 내용상의 개념(사선ㆍ사념처)의 구분
Ⅳ. 수행론의 체계화
Ⅴ. 대승에서 지와 관: 근본무분별지와 후득지
Ⅵ. 마치는 말
	                       
                    	Ⅱ. 수행론에 관한 기존의 논의
Ⅲ. 개념의 명료화: 수행 방법상의 개념(지ㆍ관)과 수행 내용상의 개념(사선ㆍ사념처)의 구분
Ⅳ. 수행론의 체계화
Ⅴ. 대승에서 지와 관: 근본무분별지와 후득지
Ⅵ. 마치는 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