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Moder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Organizational Outcomes
- 발행기관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 저자명
- 조용현(Cho Young-Hyeon) 양동민(Yang Dong-Min)
- 간행물 정보
- 『인적자원관리연구』제15권 제1호, 201~21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3.30

국문 초록
최근 많은 기업에서 이른바 가족친화 경영을 실시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일과 가정의 갈등이 조직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줄이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일과 가정간의 갈등은 조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조직몰입의 감소, 직무만족의 감소 등이 바로 그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 가정 갈등의 부정적 효과에 대한 조절변수로서 자긍심과 외향성을 설정하고 그 조절효과를 보고자 한다.
광주ㆍ전남 지역 11개 기업에 근무하는 296명의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일-가정 갈동과 직무태도간의 관계 및 조절변수에 대한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일-가정 갈등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외향성과 자긍심은 이러한 관계를 조절해주는 것으로 나타나 유의한 조절변수서 작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 및 결론부에서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광주ㆍ전남 지역 11개 기업에 근무하는 296명의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일-가정 갈동과 직무태도간의 관계 및 조절변수에 대한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일-가정 갈등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외향성과 자긍심은 이러한 관계를 조절해주는 것으로 나타나 유의한 조절변수서 작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 및 결론부에서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s of individual character on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organizational outcomes. The questionnaire data comes from 298 employees in South Korea companies. Results using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showed support for the moderating role played by self-esteem and extroversion. Theoretical contribution to the work-family conflict and organizational outcomes literatures are discussed, as ar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목차
국문초록
Ⅰ. 연구의 목적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Ⅰ. 연구의 목적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