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Analyses And Effectiveness Of The Job Search Supporting Programs By Universities
- 발행기관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 저자명
- 강원준(Kang Won-Jun) 김종인(Kim Jong-In) 김정원(Kim Jung-Won)
- 간행물 정보
- 『인적자원관리연구』제15권 제1호, 17~3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3.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각 대학에서 실시하고 있는 취업지원 프로그램의 운영 현황과 각 프로그램의 특징을 분석하고, 각 프로그램별로 취업에 미치는 성과를 살펴봄으로써 청년실업률을 낮추기 위한 대학 취업 지원프로 그램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각 대학은 취업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취업률 향상에 힘을 기울이고 있으며, 기업별로 다양한 인재 채용방식에 적응하기 위해 프로그램의 형태를 변화시키고 세분화하고 있다. 단기간에 이루어지는 취업역량강화 캠프는 구직자의 취업마인드 고취와 구직활동이 시급한 구직자에게 필요한 핵심 역량을 단기간에 개발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취업 박람회는 인사담당자와 직접 면담을 가능하게 하고 채용까지 이어주는 계기를 만들어 준다. 또한, 중ㆍ장기적 프로그램인 학기별 강좌와 취업 동아리는 자발적인 구직노력을 가능하게 만들고 저 학년부터 취업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올바른 직업선택과 진로선택에 있어 도움을 준다. 대학의 취업지원 프로그램들의 취업성공에 대한 상대적 효과성을 실증 분석한 결과, 취업지원 프로그램 중 가장 효과가 있는 것은 취업 동아리로 나타났다. 이는 주입식 또는 단기간에 이루어지는 프로그램에 비해 지속적인 관리를 통해 참가자들에게 피드백을 제공해주는 프로그램이 효과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청년 실업난을 근본적으로 낮추기 위해서는 프로그램을 주관하는 학교나 기관이 참여율이 높은 취업지원 프로그램 보다는 지속적인 관리를 해주는 프로그램으로 지원 역량을 강화시켜 추진해야 할 것이다. 또한 학생들도 직접 프로그램에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취업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이 아닌 구체적인 정보를 수집하려는 노력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로써 지속적 관리 프로그램 정착과 자발적인 학생참여가 이루어진다면, 청년 실업을 위해 진행되는 취업지원 프로그램의 효과성은 높아질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ajor characteristics and relative effectiveness on job success of five job search supporting programs administered by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area. From doing so, this study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to improve job search success probability for college graduating students as well as for policy makers. Analyzing the survey data from 254 college graduating students, the results show that among the five college job search supporting programs, the job search practices of community is relatively and significantly most effective in increasing the job search success measured by the number of job offers. This result indicates that colleges should invest more efforts and budget on the continuously administering programs such as the job search practices of community rather than short-term programs such as job fairs and employment camps. Also are discussed the other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in this study.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실업률 현황
Ⅲ. 대학 취업지원 프로그램 분석
Ⅳ. 취업지원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한 설문 조사
Ⅴ. 토론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Ⅰ. 서론
Ⅱ. 실업률 현황
Ⅲ. 대학 취업지원 프로그램 분석
Ⅳ. 취업지원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한 설문 조사
Ⅴ. 토론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