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Housing Fund Demand and Macroeconomic Variables
- 발행기관
- 한국지적학회
- 저자명
- 김진(Kim Jin) 민규식(Min Guy Sik) 김행종(Kim Haeng Jong)
- 간행물 정보
- 『한국지적학회지』한국지적학회지 제23권 제2호, 103~116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12.30

국문 초록
본 연구목적은 참여정부의 수요억제 위주의 정책으로 말미암아 주택가격이 급격히 상승하여 전국적인 가격 상승이 이루어 졌다. 하지만 서울과 지방의 주택가격의 상승은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지방의 주택가격 급등에는 다양한 거시경제요인 및 정책요인이 작용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서울지역의 주택가격 급등이 지방도시의 주택가격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방의 주택매매가격이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 요인을 분석하고, 이러한 영향을 받는 요인 중에서 기존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거시경제변수를 변수로 정하여 주택매매가격의 영향을 분석하여 6개 광역시를 표본으로 정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교차분석과 그랜저 인과관계분석, 충격반응분석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시사점으로는 주택자금대출에 의한 서울 및 6대 광역시의 주택시장의 통제가 상당히 유효한 환경이 될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하지만 주택시장은 그 특수한 성격으로 인해 동일한 변수에 의한 충격에 동일한 반응을 기대할 수 없음에 따라 지역에 맞는 조절정책을 통해 시장을 통제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규제정책이나 경기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이를 고려한 조정이 있어야만 지방의 주택시장 붕괴를 막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한 시사점으로는 주택자금대출에 의한 서울 및 6대 광역시의 주택시장의 통제가 상당히 유효한 환경이 될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하지만 주택시장은 그 특수한 성격으로 인해 동일한 변수에 의한 충격에 동일한 반응을 기대할 수 없음에 따라 지역에 맞는 조절정책을 통해 시장을 통제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규제정책이나 경기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이를 고려한 조정이 있어야만 지방의 주택시장 붕괴를 막을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study was intended to positively and objectively verify the effect of macroeconomic variables on housing prices in 6 metropolitan cities, along with the effect of housing sales price in Seoul and nationwide, making use of VAR model analysis.
For macroeconomic variables, corporate bond gains and housing loan were estimated by means of reviewing the previous studies and the initial evaluation, thereby comparing the nationwide house price and Seoul house price. Consequently, market intervention by housing loans appeared to be very effective means in controlling the housing marketing Seoul and 6 metropolitan cities, but given the particular character of housing market, the same response to the impact by the same variable can hardly be expected. Thus the market control by localized policy would be desirable.
The prices in Seoul and Incheon appeared to have served the factor having effect on nationwide price, rather than being affected. However as the prices in Busan, Daegu, Gwangju, Daejeon and Woolsan have been affected by nationwide and Seoul price, responding more sensitively to the government regulations or economic trend, the policy considering the reality is expected to prevent the local housing market from being collapsed.
For macroeconomic variables, corporate bond gains and housing loan were estimated by means of reviewing the previous studies and the initial evaluation, thereby comparing the nationwide house price and Seoul house price. Consequently, market intervention by housing loans appeared to be very effective means in controlling the housing marketing Seoul and 6 metropolitan cities, but given the particular character of housing market, the same response to the impact by the same variable can hardly be expected. Thus the market control by localized policy would be desirable.
The prices in Seoul and Incheon appeared to have served the factor having effect on nationwide price, rather than being affected. However as the prices in Busan, Daegu, Gwangju, Daejeon and Woolsan have been affected by nationwide and Seoul price, responding more sensitively to the government regulations or economic trend, the policy considering the reality is expected to prevent the local housing market from being collapsed.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분석자료 및 기초통계자료
3. VAR모형 구축
4. 충격반응분석
5.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1. 서론
2. 분석자료 및 기초통계자료
3. VAR모형 구축
4. 충격반응분석
5.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