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nfluence of Job Satisfaction on Leadership Type of Cadastral Employees
- 발행기관
- 한국지적학회
- 저자명
- 오정석(Oh Jung Seok)
- 간행물 정보
- 『한국지적학회지』한국지적학회지 제23권 제2호, 87~101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12.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지적분야 리더들의 리더십을 확인하고 이러한 리더십 유형과 직무만족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지적분야 종사자들의 직무만족을 증대시킬수 있는 리더십 유형을 살펴봄으로써 지적분야 인적자원의 효율적인 활용과 사회, 경제적 환경에 적극대응하여 보다 효율적인 리더십 개발과 경영계획의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함이다.
연구모형을 살펴보면, 리더십 유형으로 거래적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으로 구분하였으며, 거래적 리더십에는 지적자극, 개별적 배려, 카리스마가 해당되며, 변혁적 리더십에는 상황보상과 예외적 관리가 해당된다. 직무만족요인으로는 직무내용, 인간관계, 직장환경, 인사정책요인으로 분류되었으며, 지적분야 종사자의 리더십 유형이 직무만족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한지적공사직원은 대체로 직무에 보통이상(3.29)에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각의 만족정도는 직무내용은 3.38, 인간관계는 3.82, 직무환경은 2.79, 인사정책은 3.03 수준에서 만족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대한지적공사 직원들은 직무내용에 미치는 리더십의 유형을 살펴본 결과, 개별적 배려가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305). 셋째, 지적자극이 높은 상사일수록 부하직원은 직무만족(인간관계)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β=.425). 넷째, 예외적 관리가 높은 상사일수록 부하직원은 직무만족(직무환경)에 만족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β=.284). 다섯째, 상황보상이 높은 상사일수록 부하직원은 직무만족(인사정책)에 만족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β=.514).
연구모형을 살펴보면, 리더십 유형으로 거래적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으로 구분하였으며, 거래적 리더십에는 지적자극, 개별적 배려, 카리스마가 해당되며, 변혁적 리더십에는 상황보상과 예외적 관리가 해당된다. 직무만족요인으로는 직무내용, 인간관계, 직장환경, 인사정책요인으로 분류되었으며, 지적분야 종사자의 리더십 유형이 직무만족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한지적공사직원은 대체로 직무에 보통이상(3.29)에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각의 만족정도는 직무내용은 3.38, 인간관계는 3.82, 직무환경은 2.79, 인사정책은 3.03 수준에서 만족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대한지적공사 직원들은 직무내용에 미치는 리더십의 유형을 살펴본 결과, 개별적 배려가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305). 셋째, 지적자극이 높은 상사일수록 부하직원은 직무만족(인간관계)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β=.425). 넷째, 예외적 관리가 높은 상사일수록 부하직원은 직무만족(직무환경)에 만족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β=.284). 다섯째, 상황보상이 높은 상사일수록 부하직원은 직무만족(인사정책)에 만족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β=.514).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management plans and effective leadership development that enable organization to efficiently use personnel resources according to social and economical environment. With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d how employees recognize leadership and researched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types and job satisfaction of cadastral employees. Then, it found the leadership types that maximized the job satisfaction of cadastral employees. The subjects were asked to answer questions about leadership types and job satisfaction factors. The responses were analyzed by various statistical methods. The results of analyses are as followings. First, the respondents(cadastral employees) gave 3.29 score to job satisfaction. Second, the results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that employees are highly satisfied with job specification when they experience individual concern leadership(β=.305). Third, the results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that employees are highly satisfied with personnel relationship when they experience intelligence-stimulating leadership(β=.425). Fourth, the results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that employees are highly satisfied with exceptional management leadership when they experience job environment leadership(β=.284). Fifth, the results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that employees are highly satisfied with personnel policy when they experience contingent reward leadership(β=.514).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논의
3. 연구의 설계
4. 실증분석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논의
3. 연구의 설계
4. 실증분석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