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larification and Institutionalization of Requirements for Certification of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김성열(SeongYul Kim)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15집 제3호, 27~53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11.30

국문 초록
이 글은 교사는 교육의 성패를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요인임에도 불구하고, 그 자격기준이 제대로 설정되어 있지 않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 글에서는 우선, 현행 법령체계에 규정되어 있는 교사의 직무와 자격기준을 분석하면서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다음으로, 외국의 교사자격 기준을 개괄하고 그것이 우리 교사자격기준의 명료화에 주는 시사점을 탐색하였다. 마지막으로, 우리의 교사의 자격기준 설정에 대한 연구와 정책, 그리고 개별대학의 설정 사례를 검토하고 나서 교사의 자격기준 설정 방안을 제시하였다. 교사의 자격기준 설정방안은 교사의 직무와 자격기준에 관한법령체계, 교사의 자격기준의 내용구성과 체계 및 표현, 자격기준의 지위와 설정주체 및 실현조건 등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이 글은 현행 법령에서 정하고 있는 교사의 자격기준의 문제점과 한계를 보여줌과 동시에 최근 활성화되고 있는 교사자격의 ‘실질적(내적)’ 기준에 대한 논의를 보다 심화하는 계기를 제공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e present paper aimed at clarifying and institutionalizing requirements for certification of teachers. Firstly, this paper critically analysed current law system of requirements and standards for certification of teachers. Secondly, the paper reviewed requirements for certification of teachers of USA and England, and discovered some suggestions for clarification and enactment of requirements for certification of teachers. Lastly, the paper critically reviewed and discussed some important policy studies of teachers jobs and requirements for certification of teachers. In conclusion, this paper provided some ideas and suggestions that helped policy-makers clarify and establish requirements and standards for certification of teachers.
목차
요약
Ⅰ. 문제의 제기
Ⅱ. 현행 법령체계에서의 교사의 직무 및 교사자격 기준
Ⅲ. 외국의 교사자격 기준 설정 사례
Ⅳ. 교사자격 기준 설정 방안 : 기존 논의의 검토와 제도화 방안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Ⅰ. 문제의 제기
Ⅱ. 현행 법령체계에서의 교사의 직무 및 교사자격 기준
Ⅲ. 외국의 교사자격 기준 설정 사례
Ⅳ. 교사자격 기준 설정 방안 : 기존 논의의 검토와 제도화 방안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