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ritical Approach to the 2007 Revised ‘Gramma’ Curriculum
- 발행기관
- 우리말교육현장학회
- 저자명
- 임칠성(Im Chil-seong)
- 간행물 정보
- 『우리말교육현장연구』창간호, 265~28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5.30

국문 초록
이 글에서는 2007년 개정된 심화 선택 과목 ‘문법’ 교육과정을 그 배경과 함께 비판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개정 교육과정의 특징은 교육의 대상 영역을 확대하였다는 것과 실생활 언어 자료에 대한 탐구 활동을 강조하였다는 것이다. 교육의 대상 영역을 확대한 것은 한편으로 7차 교육과정 시절 선택 과목인 ‘국어 생활’에서 담당하였던 의사소통 영역(화법, 독서, 작문)의 영역 중 일부를 문법이 흡수한 결과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문법 중심 국어교육론’, 즉 문법을 국어교육의 기초로 놓고 이를 바탕으로 기능을 교육하고 마지막에 문학으로 통합되는 국어교육론에 바탕을 한 것이다.
이러한 확대는 자칫 문법 교육의 정체성을 모호하게 할 수 있다. 더구나 영역의 확대는 학습 양의 증가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학습 양의 증가는 실생활 언어 자료에 대한 탐구 활동이 어렵게 만들 수밖에 없다. 실생활 언어 자료 탐구에는 많은 시간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학습 양을 대폭 줄어야 하기 때문이다. 영역 확대로 인해 ‘어휘’와 같은 중요한 문법 교육 항목이 빠지게 되었다. 또, 문법 교육 내용을 학년에 따라 단순 배열하였기 때문에 학령에 따라 문법 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였던 문제를 다시 제기하게 한다. 문법 교육 내용이 반복 순환식으로 제시되기 위해서는 학습 양이 핵심화되고 구조화되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수?학습 방법에서 실생활 언어 자료를 탐구 활동으로 이해하도록 하고, 그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국어 생활에 적용하도록 강조한 점과, 탐구 활동을 문법 교육에 맞도록 단순화하였다는 점은 이번 교육과정의 긍정적인 측면이다.
이러한 확대는 자칫 문법 교육의 정체성을 모호하게 할 수 있다. 더구나 영역의 확대는 학습 양의 증가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학습 양의 증가는 실생활 언어 자료에 대한 탐구 활동이 어렵게 만들 수밖에 없다. 실생활 언어 자료 탐구에는 많은 시간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학습 양을 대폭 줄어야 하기 때문이다. 영역 확대로 인해 ‘어휘’와 같은 중요한 문법 교육 항목이 빠지게 되었다. 또, 문법 교육 내용을 학년에 따라 단순 배열하였기 때문에 학령에 따라 문법 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였던 문제를 다시 제기하게 한다. 문법 교육 내용이 반복 순환식으로 제시되기 위해서는 학습 양이 핵심화되고 구조화되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수?학습 방법에서 실생활 언어 자료를 탐구 활동으로 이해하도록 하고, 그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국어 생활에 적용하도록 강조한 점과, 탐구 활동을 문법 교육에 맞도록 단순화하였다는 점은 이번 교육과정의 긍정적인 측면이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I critically analysis the 2007 revised gramma curriculum. As to the parts of "character" and "aim", I point out that the aim of teaching gramma including "efficiency" adding to correctness is inappropriate. This is because that the character of grammar intends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entered on grammar".
As to the part of "content", I point out that the curriculum has extended the teaching content areas excessively for the grammar. The areas include language using principals, which are mainly the areas of communication parts(hearing part, speeching part, reading part, and writing part), adding to the structure of Korean language. The extending would make the identity of grammar education to be vague.
As to the part of "teaching-learning method", I pointed out that the method of exploring a language for learning the grammar is revised properly in this curriculum. It is desirable to using authentic data for exploring a language.
As to the part of "content", I point out that the curriculum has extended the teaching content areas excessively for the grammar. The areas include language using principals, which are mainly the areas of communication parts(hearing part, speeching part, reading part, and writing part), adding to the structure of Korean language. The extending would make the identity of grammar education to be vague.
As to the part of "teaching-learning method", I pointed out that the method of exploring a language for learning the grammar is revised properly in this curriculum. It is desirable to using authentic data for exploring a language.
목차
<요약문>
1. 서론
2. ‘성격’과 ‘목표’
3. ‘내용’
4. ‘교수?학습 방법’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1. 서론
2. ‘성격’과 ‘목표’
3. ‘내용’
4. ‘교수?학습 방법’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